19일 부울경 지역엔 하늘에 구멍이 뚫렸다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세찬 비가 퍼부었습니다. 경남 산청엔 시간당 최고 95mm의 극한호우가 내렸지요. 여기저기서 안타까운 물난리가 났습니다.
많은 언론 등에서는 큰 하천의 범람 등에만 주목합니다. 기자나 기상 캐스터가 큰비 오고 대설 내리면 서울 광화문광장을 찾는 것과 비슷합니다.
호우 취재차 들른 경남 진주시 진성면의 작은 도랑이나 농로(신작로)에도 폭우로 밀려내린 토사, 즉 흙더미가 어지러이 쌓이고 늘려 있었습니다. 비가 잠시 그치자 복구 작업도 시작됐습니다.
폭우로 산골짝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가득찬 경남 진주시 진성면 월영저수지 모습. 물넘이로 저수지 물이 철철 흘러내리고 있다.
월령저수지 물넘이에서 물이 쏟아져 내리고 있다.
▶ 토사 및 침수
집중 호우가 내리면서 감나무 과수원에 만들어진 산길을 따라 흙탕물이 돌멩이와 토사와 함께 쏟아져내리고 있다. 아래 도랑엔 저수지 물넘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내려가고 있다.
농로(신작로)에 쏟아진 흙탕물과 돌멩이가 범벅이 돼 있다. 산에서는 계속 물이 흘러내리고 있다.
호우 빗물이 과수원으로 오르는 작은 다리를 통해 벼논으로 쏟아지고 있다. 토사가 벼논에 흘러내려 벼를 묻었다.
토사가 흘러내려 벼논 한 구석을 덮었다. 벼논 주인은 일일이 토사를 퍼내야 한다.
▶ 복구 작업
이 농로를 이용하는 한우 축사 농장주와 감 과수원 주인이 트랙터와 미니 굴삭기를 이용해 농로에 두껍게 쌓인 토사를 퍼내고 있다.
트랙터와 미니 굴삭기로 농로에 두껍게 쌓인 토사를 퍼내고 있다. 빗과 토사는 과수원으로 오르는 길을 통해 쏟아져내렸다.
기계로 길에 쌓인 토사를 걷어낸 뒤 삽으로 흙과 작은 돌멩이를 치우고 있다.
마지막으로 벼논으로 들어간 토사를 삽으로 떠내고 있다. 이상 정창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