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1일 도시가스 소매 공급 비용 산정 결과 인상 요인이 있음에도 시민 부담 경감을 위해 올해 소매 공급 비용을 동결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기록적 폭염으로 인한 밥상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의 부담을 낮추려는 조치다.

도시가스 요금체계

도시가스 요금은 전체의 ▲85~90%를 차지하는 도매 요금과 ▲15~10%를 차지하는 소매 공급 비용을 합산해 결정된다. 도매 요금의 경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승인하고, 주택과 산업체 등에 공급하는 소매 공급 비용은 시·도지사가 승인한다.

앞서 시는 도시가스 소매 공급 비용 산정을 위해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외부 전문 기관에 용역을 의뢰했다.

용역 결과 ▲판매량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 ▲통상임금 인상 ▲공급관 설치 비용 상승 등 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했으나 시는 ㈜부산도시가스와 협의 끝에 동결을 결정했다.

이번 소매 공급 비용 동결 결정으로 가구당 도시가스 요금이 월평균 약 393원 절감된다.

산업용 도매요금 변동 현황(단위: 원/MJ)


산업용의 경우 도시가스 요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도매 요금이 작년 말부터 하락세를 보이며 추가 절감 효과가 크다. 이에 따라 평균 사용량(179만 1천 MJ(열량))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올해 8월 요금은 월 약 643만 원으로 지난해 12월 대비 16.4%의 절감 효과가 있다.

㈜부산도시가스는 시의 동결 결정에 따라 ▲원가 절감 ▲대형 수요처 확보 등으로 인상 요인을 자체적으로 극복하기로 했다.

한편 시는 도시가스 보급 확대를 위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시는 도시가스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도시가스 사업자의 의무 투자 재원을 지난해 대비 11억 원이 증가한 102억 원을 확보해 고지대 산복도로 및 원거리 지역의 도시가스 보급 확대를 위해 투자하기로 했다.

박동석 부산시 첨단산업국장은 “도시가스 소매 공급 비용 동결이 물가 안정과 시민 생활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도시가스 요금이 합리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원가 절감을 유도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요금 조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