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독감(인플루엔자) 환자와 의심 환자가 크게 늘어나 최근 10년 사이 가장 심한 수준으로 유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올해 독감 유행은 예년보다 한달가량 빨라졌다.

인플루엔자는 겨울철 급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갑작스러운 고열(38도 이상)과 기침, 인후통 등이 나타난다.

3일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의원급 의료기관 표본 감시 결과에 따르면, 올해 43주차(10월 19~25일) 외래환자 1000명 당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는 13.6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3.9명)의 3.5배 수준이다.

주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 현황. 질병관리청

연령별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 현황. 질병관리청

연령별로 7~12세 31.6명, 1~6세 25.8명으로 소아·청소년층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의원급 환자의 호흡기 검체에서 검출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H3N2)이 주를 이루며, 치료제 내성 변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질병청은 지난해보다 환자 발생이 높아 이번 2025~2026 절기 유행은 가장 크게 유행했던 2024~2025절기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질병청 관계자는 “올 겨울 독감이 일찍 시작된 만큼 유행 기간도 길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인플루엔자 국가 예방접종을 독려했다.

지난 10월 31일 기준 접종률은 65세 이상 60.5%(658만 명), 어린이는 40.5%(189만 명)로 집계됐다.

질병청은 “65세 이상 고령층이 예방접종을 하면 미접종자보다 중증 위험은 50~60%, 사망 위험은 80% 이상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홍콩, 태국 등 주변국에서도 비슷하게 유행하고 있어 해외 여행 때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