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국가데이터처로, 특허청은 지식재산처로 명칭을 바꾸었다. 그동안 부처 산하 기관에서 국무총리 소속으로 격상됐다.

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9월 30일 국무회의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통과돼 통계청과 특허청의 명칭과 기능이 공포일인 10월 1일 자로 바뀌었다.

국가데이터처는 데이터 총괄·조정 기능과 활용 정책을 전담하고, 지식재산처는 지적재산권의 보호와 산업 정책 수립, 특허 및 상표 등록 업무를 하는 국가 기관이다.

통계청은 정부수립 해인 1948년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발해 1961년 경제기획원(현 기획재정부) 산하로 이관됐다.

이후 1990년 정부조직법이 개정되면서 1급 기관인 통계청으로 개청한 뒤 2005년 차관급으로 승격했다.

이번에 기재부 산하에서 총리 소속으로 격상됐다.

현재는 1363종의 국가 통계를 총괄·조정 하고 있다.

국가데이터처는 기존 통계청 1차장 5국 3관 38과(689명)에서 1차장 1본부 5국 4관 40과(699명)로 확대 개편된다.

국가데이터관리본부가 신설되고, 본부 아래 국가데이터기획협력과와 인공지능통계혁신과, 국가데이터허브정책과 등이 새로 생겼다.

특허청도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에서 총리실 소속 지식재산처로 격상됐다.

조직도 기존 특허청의 1관 9국 1단 57과, 3소속기관(1785명)에서 1관 10국 1단 62과, 3소속기관(1800명)으로 확대됐다.

개편 후 지식재산분쟁대응국이 신설돼 지식재산 분쟁 발생 시 국가 차원으로 대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