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의혹들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가 특검 조사 후 자살한 경기 양평군 면장 정 모(57) 씨가 남긴 20장에 가까운 유서를 유족에게도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야권은 민중기 특검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유족 측도 특검에 대한 고소·고발을 예고하는 등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하지만 특검은 침묵만 지키고 있다.
정 씨는 2016년 김건희 여사 일가의 경기 양평 공흥지구 개발 부담금 면제 의혹과 관련해 지난 2일 특검의 소환조사를 받은 뒤 “계속된 회유와 강압에 지치고 힘들다”는 내용의 메모와 유서를 남긴 채 지난 10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2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특검이 결론을 정해 놓고 증언을 끼워 맞추는 수사로 고인에게 왜곡된 진술을 강요했다”며 “괴물 특검이 국가의 보호를 받을 국민에게 오히려 합법적 폭력을 가하고 죽음에 이르게 했다”고 밝혔다.
또 “특검은 국토교통부 여자 사무관의 산후조리원까지 압수수색 했다고 한다. 이것이 수사의 탈을 쓴 만행이자 합법을 가장한 폭력”이라고 했다.
김건희 여사 측도 특검을 향한 공세에 가세했다.
김 여사를 변호하는 최지우 변호사는 페이스북에 “특검 일부 검사는 변호인이 피의자(김 여사)와 나란히 앉지 못하게 했다”며 “특검 검사에게 질의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점에 이의를 제기한 적 있는데 특검 검사는 ‘변호인은 가만히 계세요’라고 크게 소리를 질러 이의제기 자체를 제지했다”고 말했다.
최 변호사는 이어 “특검의 위와 같은 행태를 보면 충분히 강압 수사의 가능성을 의심해볼 수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정화 변호사도 “특검이 정치적 필요에 따라 사람을 압박하고 진술을 강요해 결국 한 공직자를 죽음으로 내몬 것이라면 그것은 사건 수사가 아니라 정권 보복”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특검은 지난 10일 사망과 관련해 입장문을 낸 이후 아예 입을 다물고 있다.
특검은 “다른 공무원들로부터 이미 확보한 진술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지난 2일 조사를 했다”며 “새로운 진술을 구할 필요가 없어 강압적인 분위기가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그렇지만 특검 내부엔 당혹스러운 분위기가 역력하다.
정 씨가 의혹의 정점이 아니었던 만큼 자살읖 예상하지 못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 씨는 특검의 주장과 달리 조사 다음 날인 3일 자로 자필로 작성한 메모에서 “모른다고, 기억이 안 난다고 솔직히 말해도 계속 다그친다”, “지속되는 회유와 강압에 지치고 힘들다” 등 특검 수사에 대한 커다란 부담을 호소했다.
양평군 정 모 면장이 민중기 특검 조사 후 자살 직전 적은 메모 내용. 김선교 의원 페이스북
국민의힘 관계자는 “정 씨가 남긴 유서가 20장 가까이 된다고 한다. 특검 수사의 부당함이 여기에도 포함됐을 것이라고 보는데 경찰이 유서를 유족에게 보여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정 씨 조사 당시 작성한 내용과 당시 상황이 담긴 CCTV를 공개하라고 압박했다.
국민의힘은 특검의 인권 침해 수사릎 위해 ‘민중기 특검 폭력수사 특검법’을 발의하기로 했다.
정 씨 유족 측은 이번주 중으로 정 씨의 조서에 대한 열람을 요구할 계획이다.
박 변호사는 “조서에 고인의 답변이 어떻게 적혀있는지 중요하다”며 “이후 특검과 담당 수사관들을 직권남용, 허위공문서 작성 등으로 고소하거나 고발할지 유족과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