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경남뉴스의 '사진첩 다시 열다'는 더경남뉴스가 사진자료방에 넣어두고, 그간 기사로서 빛을 내지 못한 사진을 뒤늦게 독자분들께 기사화 하는 코너입니다. 예를 들어 꽃 피는 봄의 정취를 한겨울에 보는 코너로 보면 의미를 더할 듯합니다. 편집자 주

초겨울입니다. 지난 10월 15일 경남 진주시 진성면의 한 야산 길 옆에 자리하던 이끼의 자태입니다.

절기상 가을이 왔건만 '오지 않은' 현장입니다.

올 가을은 늦게까지 여름철 비처럼 비가 잦고 늦더위가 지속됐습니다. 풀과 나뭇잎도 여름철과 같이 푸르름을 잃지 않아 저마다 고개를 갸우뚱했었지요.

초겨울을 맞은 11월 말, 한 달 전 신비하고도 오묘한 '이끼 세상' 구경하기를 바랍니다.

밤 과수원 임도 옆 돌담에 '꼬마왕국 야산' 형상으로 자리한 이끼 군상들

이끼 모습이 고슴도치 같기도 하고 밤송이 같기도 하다.

늦가을 날씨에 푸른 이끼가 변색한 곳도 보인다.

임도 석축의 시멘트 위에 자리해 여름 한 철을 황성하게 보낸 이끼들. 늦더위에 비마저 잦아 주위도 온통 푸른색이다.

원초적 생명력을 가진 이끼는 태고적 신비로움을 느끼게 한다.

양지바른 곳인데 이끼가 군락을 이룬 게 이채롭다. 돌세멘트 바닥이 수분을 머금고 있다는 것이다.

우거졌다고 해야 할 정도로 이끼가 촘촘하다.

이끼와 자갈의 조합도 볼만한 눈요깃거리다.

인간의 손길이 닿지 못한 태초의 곳 정취를 느끼게 하는 모습이다. 이끼의 정취가 그렇고 긴 세월에 잘게 부서진 자갈도 그러하다.

큼지막한 돌담벽에도 이끼는 세력을 뻗혀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저마다 모양을 달리한 이끼 모습이 이채롭다.

전체 모습이 열대우림지의 '이끼나무숲'처럼 와닿는다.

산 능선의 이끼 밭처럼 보인다.

푸른 고슴도치 산과 같이 무성한 이끼들

앞의 사진에서도 언급했듯 밤나무 밭에 떨어진 푸른 밤송이가 모여 있는 듯, 푸른 불가사리가 산으로 소풍을 온듯 묘한 정취를 선물한다.

복슬복슬한 털 모양의 이끼 주위로 풀잎들이 포인트를 주며 자리해 조화롭다.

동화 속의 작은 밀림을 보는 것 같은 이끼들. 사진으로 보면 크게 보이지만 실물들은 아주 작다. 이상 정기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