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장공비로 청와대에 침투하려다가 생포돼 귀순한 뒤 목회 활동을 했던 김신조(83) 씨가 9일 83세의 일기로 별세했다.

서울성락교회 등에 따르면 김 씨는 이날 새벽 소천(召天·하느님의 부름을 받아 돌아감)했다. 고인은 평소 북한의 고향을 무척 그리워했으며 최근 수년 간 치매로 고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1968년 1·21사태 당시 검거된 김신조(왼쪽) 씨가 손이 뒤로 묶인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 씨는 남파된 무장공비 31명 중 유일한 생존자였다. KTV

김 목사는 함북 청진에서 태어나 18세부터 군 생활을 했다.

북한 정찰국 124군 소속이던 그는 1968년 1월 21일 박정희 대통령을 살해하기 위해 청와대를 습격하려다가 서울 세검정 고개 인근에서 생포됐다. 당시 무장공비 31명 중 1명은 북한으로 도망가고 유일하게 생존했다. 당시 김 씨의 나이는 26세였다.

무장공비들은 나무꾼 형제들에게 발각된 뒤 군경이 출동하자 도주 과정에서 무차별 사격과 수류탄 투척으로 군경은 물론 민간인 피해가 여러 건 발생했다.

우리 군경 23명이 전사하고 민간인 7명이 사망했다. 군경과 민간인 52명도 부상을 입었다.

종로경찰서장 최규식 경무관과 제1보병사단 15연대장 이익수 대령이 교전 중 전사했다.

그는 당시 생포 후 ‘왜 내려왔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박정희 모가지 따러 왔시요”라고 말했었다.

김신조 씨가 현장 검증을 하고 있다.

김신조 씨가 포승줄에 묶인 채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회견장으로 올라서고 있다.

기자 회견을 하는 김신조 씨

무장공비 침투사건은 반공과 관련한 많은 제도를 탄생시켰다.

향토예비군과 방위병, 전투경찰대가 창설됐고 설악개발단, UDU, 684부대 등 보복 부대가 만들어졌다. 육군3사관학교, 육군과 해군 2사관학교가 창설됐다. 군대에서 유격 훈련이 실시됐고, 5분 대기조가 만들어지고, 고등학교에는 교련 과목이 포함됐다.

청와대 근처 인왕산과 북악산에 통행을 금지했고 휴전선 철책도 설치됐다.

지금 쓰는 주민등록증도 이때 처음 단일 형태의 신분증 도입했다. 모든 국민에게 주민등록번호를 부여하고, 18세 이상에게 주민등록증을 발급했다.

또 광화문에 이순신 장군 동상이 설치됐고, 북악스카이웨이도 준공됐다.

북한의 무장공비 청와대 침투사건 때 유일하게 생존한 김신조 씨가 결혼식을 올리고 있다. 촬영일 1970년 10월 7일이지만 장소는 미상이다. 이상 문화부 산하 한국정책방송원 e영상역사관

귀순 후 남한 적응에 어려움을 겪다가 최정화 씨와 결혼하면서 1981년 서울 성낙교회에서 신앙생활을 시작했고 1997년 1월 목사 안수를 받았다.

빈소는 서울 영등포구 교원예움 서서울장례식장에 마련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