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경남뉴스는 일상에서 자주 쓰지만 헷갈리는 낱말과 문구를 찾아 독자와 함께 풀어보는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지도편달과 함께 좋은 사례 제보도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주
부인과 아내, 처, 집사람···. 이들 단어의 공통점은 결혼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이들 단어를 용처, 즉 쓰는 때가 다릅니다. 하지만 우리는 구분없이 막 쓰는 경향이 있지요.
단어의 뜻을 알아 보고, 어떤 경우에 써야 하는 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부인과 아내를 구분해 봅니다.
먼저 부인입니다. 한자로는 夫人인데 지아비(남편) 부(夫), 사람 인(人)입니다. 즉 결혼한 여자를 이릅니다.
참고로 사내(지아비) 부(夫)와 비슷한 아버지 부(父)가 있는데, 둘의 뜻은 엄연히 다릅니다. 부친(父親)은 살아 계신 아버지를 말합니다.
아내는 순수 우리말인데, 결혼해 남자와 짝을 이룬 여자를 뜻합니다.
아내는 달리 처(妻), 안사람, 집사람, 여편네, 지어미로 말합니다. 어려운 한자어론 규실, 처실, 내권 등이 있습니다. 영어론 와이프이지요.
반대 말은 당연히 남편입니다.
하지만 부인과 아내는 상황에 따라 달리 사용합니다. 둘을 제대로 구분해 쓰는 이가 많지 않습니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이고, 아내는 '자신의 처'를 말할 때 씁니다.
남편이 자신과 결혼해 사는 여자를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아내, 처, 집사람, 안사람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 사람'도 이 부류에 넣어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아이가 있는 경우엔 'OO 엄마'란 표현도 가능합니다.
격식 있는 자리에서는 자신의 아내를 처라고 표현하고 편안한 자리에서는 집사람, 안사람 등으로 말하면 무난합니다.
자신의 아내를 남에게 '부인'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즉, 자기 아내를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부인'으로 사용하면 안 됩니다.
사례를 들어 구분해 봅니다.
"저의 부인은 예쁩니다"는 틀리고 "저의 아내는 예쁩니다"가 맞습니다.
예부터 우리는 자칭 동방예의지국이라고 하며, 격식을 갖추고 장소와 때에 따라 사용하는 말을 달리합니다. 말하는 법인 화법(話法)은 곧 언어 예절이라고 여겼지요.
영어 등 서구어와 달리 높임말이 엄청 많아 한글을 처음 배우는데 무척 어렵다고 합니다.
호칭과 지칭어가 어렵고 혼란스럽지만, 다양한 언어는 생활에 윤택함을 더하기도 합니다.
자신의 아내를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저의 부인'이나 '우리 부인'이라고 하면 안 되겠습니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다만 드라마 사극에서 사대부 집안의 남자가 '자기 아내'를 부르거나 말할 때 '부인'이라고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호칭(지칭)을 하는 것입니다.
한번 더 사례를 들며 이글을 마칩니다.
"부인은 안녕하시지요?", "저분이 사장님 부인이십니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부인 대신 아내를 쓰면 틀린 호칭입니다.
자기의 아내를 가리켜서 '부인'이나 '우리 부인'이라고 말하지 않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