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광장이 6일 재개장 됐다. 재구조화 공사 후 1년 9개월 만이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광화문광장을 '공원 같은 광장'으로 만들어 시민에게 개방한다고 밝혔다.

광화문광장(시민광장) 조감도

광화문광장(역사광장) 조감도

기존 광장의 서쪽(세종문화회관 앞) 차로를 없애고 조성한 광장의 총면적은 4만 300㎡로 종전(1만 8840㎡)보다 2.1배 넓다. 광장 폭도 35m에서 60m로 확대됐다.

녹지는 광장 전체의 4분의 1 수준인 총 9367㎡로 3배 이상 늘어났다. 나무 5000여 그루를 광장 곳곳에 심어 그늘 쉼터를 만들었다.

세종대왕 동상 앞과 세종문화회관 중앙계단 앞은 행사가 가능한 '놀이마당'이 조성됐다. 청계천 방면 광장 초입에 있는 '광화문 계단'에도 지형 단차를 이용한 녹지와 휴식 공간이 마련됐다.

광화문 월대‧해치상 복원 시 배치도

세종로공원 앞 사헌부 터의 현지 노출 전시 위치도. 서울시 제공

다양한 수경시설도 설치됐다. 세종로공원 앞에는 총 212m 길이의 '역사물길'이, 세종문화회관 앞에는 77개 물줄기로 이뤄진 40m 길이의 '터널분수'가 각각 만들어졌다.

세종문화회관 앞쪽 '해치마당'에 있던 콘크리트 경사벽에는 53m 길이 영상창(미디어월)이, 세종대왕상 뒤편 지하로 이어지는 세종이야기 출입구에는 '미디어 글라스'가 설치돼 밤마다 다양한 미디어아트 공연이 열린다.

이날 오후 7시 개장 기념행사인 '광화문광장 빛모락(樂)'은 71인조 시민 오케스트라의 공연으로 문을 연다.

이어 시간·사람·공간의 빛을 상징하는 시민 9명이 오세훈 시장과 함께 무대에 올라 직접 '화합의 빛'을 만드는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김창완밴드, 이날치, 오마이걸 등도 무대에 올라 대표곡을 들려준다.

현장 행사에는 예약한 300명만 입장할 수 있고,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체임버홀, KT 광화문빌딩 외벽, 해치마당 영상창, 육조마당 LED 화면을 통해 행사를 관람할 수 있다.

행사 진행을 위해 이날 오후 6∼10시 세종대로(광화문 삼거리∼세종대로 사거리) 전 방향의 차량 통행이 통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