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지난 29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내년 정부예산안의 경남도 국비 반영액은 지난해 9조 6082억 원 보다 16% 증가한 11조 1418억 원이라고 2일 밝혔다.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2일 도청에서 내년도 정부예산안 경남 국비 반영 현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경남도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일 브리핑에서 “이번 정부 예산안에 경남도의 규모가 대폭 증가한 것은 남부내륙철도, 부산신항 김해 고속도로 등 주요 SOC 사업 예산이 대폭 반영되고, 예타 면제된 피지컬 AI 예산과 수해복구 예산이 포함됐기 때문”이라며 “이번 국비 확보는 단순한 수치를 넘어 경남의 교통·산업·경제 체질을 획기적으로 바꿀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정부의 AI·R&D 중심 혁신정책과 연계해 경남 주력 제조업의 AI 전환을 본격화하고, 도민의 신속한 일상 복귀를 위한 재해·재난 복구 예산도 확대 반영됐다”며 “경남을 산업·경제 중심지로 만들고 도민행복시대를 정착시키겠다”고 강조했다.
2026년 정부예산안 주요분야별 재원배분 내역
내년 정부예산안 증가율은 8.1%(728조, 전년 대비 54조 7천억 증액)로, 인공지능(AI)와 연구개발(R&D), 균형발전, 저출생·고령화 대응 및 사회안전망 강화, 국민안전 확보 등에 중점을 뒀다.
정부예산안에 반영된 분야별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도는 미래성장 먹거리로서 주력산업 위주로 인공지능(AI) 개발과 전환에 중점을 두고 농업 등 전통산업 스마트화, 인공지능(AI) 개발·적용·연구개발 인재 육성에 중점을 둔다.
우리나라 수출역군으로서 경남경제를 견인한 방위산업, 조선업, 원전산업과 새로운 경남의 미래 먹거리인 우주항공산업을 육성·지원하는 주요 신규사업 상당수가 정부예산안에 반영됐다.
도내 지역별 발전 양상에 차이가 있어 성장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람과 물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을 갖추고, 경남의 균형성장을 이끌어갈 주요 사업이 대거 반영됐다.
최근 급격한 기후 변화로 산불, 산사태, 집중호우 등 재난·재해가 빈번해지고, 의정 갈등으로 인해 취약계층과 환자들의 의료피해를 입었으며, 내수 침체로 소상공인·자영업자가 큰 어려움을 겪었다. 도민의 안전과 민생안정을 지켜내기 위한 예산이 상당수 반영됐다.
한편 지난달 20일 예타를 통과한 ▲거제~통영 고속도로 건설 사업 ▲국립남부청소년수련원(AI SPACE) 건립 사업은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경남지역 공약으로 확정했지만 이미 정부예산안 편성이 거의 마무리된 시점이라 정부예산안에는 담기지 못했다.
더불어 ▲김해~밀양 고속도로 건설은 예타 진행 중이며 ▲거제~마산(국도5호선) 도로 건설 사업은 도의회 동의 절차를 밟고 있다.
그 외 정부예산안 미반영 사업과 일부 반영 사업은 사업 필요성과 증액 타당성 등을 보강해 국회 심의단계에서 대응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