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남해군은 오는 27일 오후 3시 서면 서호리 산 178-1번지 고려시대 대몽항쟁기 '삼별초 대장군지' 발굴 조사 현장에서 현장 공개 및 설명회를 개최한다.
앞서 군은 서면 서호리 삼별초 대몽항쟁기 대장군지 건물군을 발견, 경남연구원에 의뢰해 지난 6월부터 발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미 발굴된 전남 진도 용장성과 유사한 구조의 대형 건물군임이 확인됐다.
고려시대 대몽 항쟁기 삼별초 건물군 실체가 확인된 남해군 서면 서호리 대장군지 모습. 발굴 조사가 한창이다.
특히 이번 정밀 발굴 조사에서는 대몽항쟁기 삼별초의 거점인 전남 진도 용장성과 유사한 구조의 건물군과 건물 배치가 확인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남해 대장군지는 '고려사'에 기록된 삼별초 대장군 유존혁(劉存奕)이 1270년 남해현을 거점으로 약 80여 척의 선단을 이끌고 항몽 활동을 펼친 사실과 관련된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지표조사와 시굴 조사, 학술대회 등을 통해 유적의 성격을 검토해왔으나,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항몽기 유적의 구체적인 구조와 성격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 결과, 계단식으로 조성된 5개 단의 대지 위에 △고려 중기 초축된 건물지 △13세기 대몽항쟁기에 대규모로 확장된 건물군 △15세기 조선 전기의 건물 등이 이어져 있었으며, 세 차례에 걸쳐 개축된 사실이 확인됐다.
특히 대몽항쟁기 건물군 내부에서는 계단, 중정(中庭·안마당), 답도(踏道) 등이 확인됐다.
전체적인 건물 배치와 대형 축대의 구성 방식은 1270년에 조영된 진도 용장성과 매우 유사한 구조를 보인다.
고려시대 때 삼별초의 대몽 항쟁기 건물군 실체가 확인된 남해군 서면 서호리 대장군지 모습. 발굴 조사가 한창이다.
함께 출토된 유물로는 고려시대 13세기에 제작된 청자잔탁과 청자상감문병이 확인됐으며, 관아나 주요 사찰에서 사용된 귀목문 막새와 전돌도 출토돼 대몽항쟁기 건물의 조성 시기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 불교와 관련된 ‘香得(향득)’ 명문이 새겨진 기와가 확인됨에 따라 대몽항쟁기 이전부터 이 일대에 사찰 건물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고려시대 건물 상부를 되메우고 만든 상층 건물지에서는 조선시대의 기와, 연화문 막새, 분청사기 인화무늬 접시, 옹기류 등이 출토돼 조선 전기에 대장군지가 대대적으로 개축된 사실도 확인됐다.
장충남 남해군수는 “남해 대장군지는 진도·제주와 함께 삼별초 항몽의 역사를 잇는 핵심 유적”이라며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그 실체가 규명된 만큼, 남해가 호국성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보존·활용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남해군은 이번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경남도기념물 지정을 추진하고 유적의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역사적 가치에 기반한 활용 방안도 함께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27일 현장 공개 설명회는 별도의 신청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남해군 문화체육과 문화유산팀(055-860-8634)으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