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깨질 추수.
요즘엔 하늘의 별따기 정도로 보기 힘듭니다. 농사 현장과 축제장 행사 코너에서나 맛배기로 보거나 잠시 체험할 수 있는 옛 걷이 농사법입니다.
예전 농촌에선 벼와 콩을 수확한 뒤 마당에 널어 놓고 하는 도리깨질이지요. 벼타작, 콩타작이라고 부릅니다. 도라깨를 돌리면서 두드려 알곡을 분리해 냅니다.
6일 경남 진주시 진성면 구천마을에서 한 농업인이 전통 방식잌 도리깨질로 콩타작을 하고 있다.
요즘 대부분의 농촌의 일은 기계로 하지만 소규모 재배 농작물은 옛 방식으로 타작을 합니다. 타작은 두들긴다는 뜻입니다.
들깨를 탈곡기로 수확하는 모습. 콩타작도 들깨와 비슷하게 탈곡한다.
도라깨가 공중에서 돈 힘으로 콩대를 내리쳐 꽁깍지와 알곡(콩)을 분리한 모습
논콩을 키에서 말리고 있다. 이상 정창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