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일선 검사장들이 10일 검찰 내부망 '이프로스'를 통해 검찰의 경기 성남시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해 노만석 검찰총장 권한대행에게 상세한 설명을 요구하는 입장문을 냈다. 대검 수뇌부를 향한 이례적인 집단 성명이다.

노 대행은 대검찰청 차장검사로 지난 7월 1일 이재명 정부에서 대검 차장검사로 승진했고 같은 날 심우정 검찰총장이 사퇴하면서 대행을 했다. 사법연수원 29기다.

입장문에는 노 대행과 연수원 동기인 박재억 수원지검장과 박현준 서울북부지검장, 박영빈 인천지검장, 박현철 광주지검장, 임승철 서울서부지검장, 김창진 부산지검장, 서정민 대전지검장, 이만흠 의정부지검장, 유도윤 울산지검장, 김향연 청주지검장, 문현철 창원지검장, 신대경 전주지검장, 박혁수 대구지검장, 이응철 춘천지검장, 정수진 제주지검장, 민경호 대전고검 차장(검사장), 이준범 수원고검 차장(검사장), 박규형 대구고검 차장(검사장) 등 검사장 18명이 이름을 올렸다.

김태훈 서울남부지검장, 임은정 서울동부지검장은 성명에서 빠졌다.

검사장들은 '검찰총장 권한대행께 추가 설명을 요청드린다'는 제목의 입장문에서 "일선 검찰청의 공소유지 업무를 책임지고 있는 검사장들은 검찰총장 권한대행께 항소 포기 지시에 이른 경위와 법리적 근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다시 한번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 사건의 1심 일부 무죄 판결에 대한 검찰총장 권한대행의 항소 포기 지시를 두고 검찰 내부뿐 아니라 온 나라가 큰 논란에 휩싸였다"고 했다.

이들은 "서울중앙지검장은 명백히 항소 의견이었지만 검찰총장 권한대행의 항소 포기 지시를 존중해 최종적으로 공판팀에 항소 포기를 지시했다"며 "검찰총장 권한대행을 상대로 항소 의견을 관철하지 못하고 책임지고 사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했다.

검사장들은 "검찰총장 권한대행이 밝힌 입장은 항소 포기의 구체적인 경위와 법리적 이유가 전혀 포함돼 있지 않아 납득이 되지 않는다"며 노 대행의 추가 설명을 요청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