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그맨 출신 방송인 김수용 씨가 촬영 중 의식을 잃은 이유가 귓불에 나타난 주름 때문이란 주장이 나왔다. 일각에선 귓불 주름이 심혈관 질환의 전조일 수 있다고 한다.
김수용 귓볼 주름
김 씨는 지난 14일 오후 경기 가평군의 한 장소에서 유튜브 콘텐츠를 촬영하던 중 갑자기 쓰러졌다.
현장에 있던 동료들과 스태프들이 응급조치를 한 뒤 119에 신고했고, 출동한 119구급대가 심폐 소생술 등을 한 뒤 구리 한양대병원으로 옮겼다.
김 씨 소속사 미디어랩시소는 "쓰러졌을 때 상당히 위중한 상태였으나 응급 치료를 받으면서 의식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온라인을 중심으로 김 씨의 과거 사진 등에 남아 있는 귓불의 사선 주름이 원인이라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귓볼 사선이 단순한 노화 현상이 아니라 심혈관 질환과 연관된 경고 신호인 '프랭크 징후'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프랭크 징후는 지난 1973년 미국 내과 의사 샌더스 T. 프랭크 박사가 처음 보고한 현상이다. 한쪽 또는 양쪽 귓불에 45도 각도로 나타나는 대각선 주름이다.
이 주름은 외이도 입구 쪽으로 이어지는 형태인데 주름의 깊이가 귓불 전체 너비의 3분의 1 이상일 때 의미 있는 징후로 본다.
프랭크 징후는 한쪽 귀에서만 나타날 수 있고 양쪽 귓불에서 모두 관찰될 수 있다. 양측성으로 나타날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 연관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종 연구에서는 이 징후가 관상동맥 질환, 심근경색, 말초혈관 질환, 뇌졸중 발생 위험 증가와 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보고돼 왔다.
하지만 이 주름 자체가 심장 질환을 직접 유발하는 인과 관계가 입증된 것은 아니다.
다만 귓불 피부의 아래엔 미세혈관은 풍부하지만 말초 순환이 취약해 심장 혈관에 동맥경화가 진행될 때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뿐 아니라 귓불의 미세혈관에도 동시에 혈액 순환 장애가 생길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귓불 조직의 탄력이 떨어지고 콜라겐·엘라스틴 섬유가 손상되면서 눈에 띄는 대각선 주름이 생긴다고 한다.
하지만 프랭크 징후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징후일 뿐, 질병 그 자체를 확진하는 ‘진단 도구’는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어느 정도 귓불에 주름이 생길 수 있어, 프랭크 징후의 존재만으로 심장 질환을 단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프랭크 징후는 젊은 환자나 뚜렷한 심혈관 질환 증상이 없는 사람에게서 잠재적 심혈관 질환 위험을 가늠하는 간단하고 시각적인 참고 지표가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프랭크 징후를 발견했다면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혈당 검사 등 심장 검진을 받아보는 것을 권장한다.
특히 고혈압, 당뇨병, 흡연력, 가족력 등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이 귓불 주름까지 발견될 경우 심전도, 심장 초음파, 관상동맥 CT 등의 검사를 해볼 것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