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부터 '직장인 든든한 한끼' 시범사업을 한다. 관련 예산은 지난 29일 정부가 발표한 2026년 예산안에 포함됐다.
이 사업은 79억 원을 들여 인구감소지역의 중소기업 근로자 5만 4000명에게 월 4만 원 상당의 식비를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경남 진주에 있는 경상국립대 '천원의 아침밥' 메뉴.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부터 대학생 대상 '천원의 아침밥'을 원용한 '직장인 든든한 한끼' 시범사업을 한다. 진주시
사업은 '천원의 아침밥'과 '든든한 점심밥' 등 두 종류로 나뉜다.
천원의 아침밥 사업은 쌀을 활용한 일반식(백반, 덮밥 등), 간편식(김밥 등)을 한 끼당 1000원에 제공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산업단지 노동자에게 확대했다.
단가가 5000원인 식사라면 정부가 2000원, 지자체와 기업이 각각 1000원을 지원한다. 직장인은 1000원만 내면 식사를 할 수 있다.
든든한 점심밥 사업은 근로지 내 외식 업종에서 점심시간(오전 11시~오후 3시)에 결제한 금액의 20%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1만 원 짜리를 8000원에 먹을 수 있다. 다만 월 4만 원 한도로 하루 함끼면 20일간이다.
정부는 "점심시간 외식 업종 이용을 늘려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하지만 정책이 공개되자 정부의 의도와 달리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지역 소규모 공단 등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에게는 도움이 될 것", "세금을 들여 직장인 밥값을 지원하는 것이 맞느냐", "결국 식당이 음식 가격을 올릴 것"이라는 찬반 글이 올라왔다.
한편 정부는 대학생 대상 '천원의 아침밥' 지원을 201개교에서 240개교로 늘려 대상자를 450만 명에서 540만 명으로 확대한다.
관련 예산은 111억 원으로 책정했다.
또 초등 1~2학년 늘봄학교에 주 1회 과일 간식을 지급하는 사업도 새로 시행된다. 예산은 169억 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