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남해군 인구가 지난 9월 14명 증가에 이어 10월에는 328명이 폭증했다.
농어촌기본소득사업 시범 지역에 선정돼 내년부터 2년간 1인당 월 15만 원의 지역사랑상품권(화전)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남해군 인구는 지난해 연말 3만 9832명으로 4만 명이 붕괴된 뒤 연초부터 계속 줄었었다.
15일 남해군에 따르면, 9월 전입자는 272명에 불과했지만 10월에는 629명으로 한 달새 357명이나 늘어났다. 이에 따라 9월엔 14명, 10월엔 328명이 순증했다.
올해 들어 1~8월 인구가 월 20~132명이 줄어들었다는 점에서 이 같은 반전은 의미가 크다.
남해군은 일단 '농어촌기본소득사업 시범 지역' 지정 효과가 나타났다며 반색하고 있다.
지역별 전입자는 서울 등 수도권이 아닌 부산·경남 등 인근 지역이 많았다.
서울 전입자는 9월 28명, 10월 24명으로 4명이 줄었다.
하지만 부산은 46명에서 130명으로 84명이 늘어 단일 지역에선 가장 많았다.
이어 진주가 9월 10명에서 10월 68명으로 58명, 사천은 15명에서 56명으로 41명, 창원이 19명에서 40명으로 21명이 각각 늘었다.
진주, 사천, 창원은 도로 등을 고려하면 동일 생활권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입·전출이 비교적 쉽다.
퇴직자의 경우 주소지 변경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주소를 옮기는데 영향을 줬을 가능성도 있다.
농어촌기본소득 시범 지역 선정에 따른 정책 효과는 제도의 정착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인구 증가가 꾸준하게 이어질 수도, 일시적 현상에 그칠 수 있다.
일부 군민은 기존에 받던 각종 수당이 줄어들 우려도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전입 이유와 정착 기간, 지속성 등 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위장 전입도 있을 수 있다.
전입자의 정착을 위한 지속적인 행정·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숙제도 안고 있다.
한편 이번에 같이 지정된 전북 순창군도 지난 9월 2만 6741명이던 인구가 10월 한달간 전입 547명, 전출 169명으로 378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