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13일 염소산업을 육성하고 농가의 안정적 소득과 지역 축산경쟁력 강화를 위해'경남 염소산업 발전 추진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 개 식용 종식법 시행과 맞물려 염소 고기가 대체 보양식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소자본 창업이 가능한 축종으로 귀농·은퇴자 중심의 신규 사육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염소가 풀을 뜯어먹고 있다.

도는 ▲축사 현대화 및 질병예방 지원(기반조성) ▲품종개량 및 가공·유통체계 구축(산업화) ▲불법도축 근절과 원산지 단속 강화(유통관리) ▲미등록 농가의 축산업 등록 확대(제도화) ▲생산자단체 협의체 운영(협력체계) 등 5대 전략을 중심으로 산업 기반 확립에 나선다.

경남 진주축협에서 운영하는 염소경매시장 모습. 이상 정창현 기자

특히 도내 열악한 사육시설 개선과 규모 확대를 지원하고, 불법 도축 및 원산지 단속을 강화해 수입산 염소 고기의 국내산 둔갑 근절 등 단기적 현안 대응에 집중해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경남도 특별사법경찰이 9월 1일~10월 31일 보양식 취급업소 원산지 단속에서 염소탕에 사용한 양고기를 적발한 모습. 경남도

도는 올해 1억 3천만 원으로 9개 시군 22곳을 지원하는 사육환경 개선 사업을 하고, 오는 2027년까지 총사업비 12억 3천만 원 규모의 함양 흑염소 가공·유통센터를 건립을 한다. 또 미네랄 블록·비타민제 지원을 병행하는 등 실효성 있는 지원을 한다.

경남도는 축산연구소, 농업기술원, 특사경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축산업 등록, 유전자원 연구, 단속 및 기술보급을 연계하며, 염소산업의 제도적 정착과 품질경쟁력 강화로 지속 가능한 새로운 축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 지원할 방침이다.

박동서 경남도 축산과장은 “염소산업이 개 식용 종식 이후 대표적인 건강식품 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제도권 기반 확립과 품질관리 체계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기준 가축행정통계에서 경남도 내 염소 사육 농가는 2146호이며, 사육두수는 약 4만 4천 두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