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19일 최근 경기와 충북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연이어 발생해 도내 가금농가와 철새도래지 대상으로 현장 방역 활동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특히 야외 AI 바이러스가 인근 부산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검출되고 있어 발생 위험도가 한층 커지고 있다.
현장점검반이 가금농장에서 AI 검사를 위해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경남도
도는 시군과 함께 24개 현장점검반을 투입해 과거 발생 농장, 철새도래지 주변 농가 등 방역 취약 요소가 있는 299개 가금농장을 대상으로 ‘가금농장 핵심 차단 방역 수칙’ 이행 여부를 주 1회 이상 현장 점검한다. 미흡 사항은 현지에서 즉시 보완한다.
또 가축사육업 미등록이 의심되는 105개 소규모 농가는 12월 5일까지 특별점검을 한다. AI 발생 위험도가 높은 중점방역관리지구 내 ‘동절 기간 사육제한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농가도 방역 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도는 오는 28일까지를 ‘일제 집중 소독주간’으로 정하고 공동방제단과 시군 보유 소독 차량 등 가용자원을 동원해 가금농장, 축산시설, 철새도래지 소독에 나선다.
더불어 달걀값 상승과 직결될 수 있는 산란계 농가 발생 방지를 위해 대규모 농장에 통제초소를 설치해 3단계 소독(거점소독시설→통제초소→농장)을 하고 양산시 상북면 산란계 밀집 지역에는 책임전담관이 매주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정창근 경남도 동물방역과장은 “전국적으로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사례가 증가하면서 도내 유입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가금농가는 핵심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도내 가금산업 보호를 위한 강화된 방역 조치에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