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경남뉴스의 '정창현 기자의 고샅길 산책'은 발행인인 정 기자가 곳곳의 숨겨져 있는 대상을 찾아 그 속내를 한 꺼풀씩 벗겨내는 코너입니다. 고샅길은 '시골 마을의 좁은 골목길'입니다. 정 발행인은 '고샅길'의 의미처럼 이 구석, 저 구석을 찾아 '호흡이 긴' 사진 여행을 합니다. 구석구석을 찾는다는 의미에서 도심의 풍경과 정취도 포괄해 접근하겠습니다. 좋은 연재물이 되도록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주
경남 함안군 법수면의 작은 시골 동네인 강주마을. 이곳은 해마다 여름이면 수만 명의 방문객이 몰려오는 관광명소다. 마을 뒷산 언덕은 수십만 송이의 해바라기가 저마다의 얼굴로 만개해 노란색 별천지로 바뀐다.
강주마을 해바라기는 마을 주민들이 마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주변의 밭에 심었다. 예쁘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관광객이 한 사람 두 사람 마을을 찾기 시작했다. 이에 함안군이 법수산권역 마을사업으로 규모를 키워 지난 2013년 제1회 강주문화마을 해바라기 축제를 개최했다.
지금은 강주마을이 주최하고 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강주해바라기축제위원회가 주관하고 있다.
강주마을과 해바라기축제장(오른쪽) 전경. 축제장 2단지에서 바라보며 찍었다.
축제는 올해로 벌써 13회째를 맞는다. 지난 6월 18일 개막행사를 시작으로 7월 2일까지 계획됐으나 해바라기가 다소 늦게 개화해 축제 기간을 오는 6일까지 연장했다.
강주마을 일원 총 4만 2500㎡에 해바라기를 중심으로 백일홍, 박터널 등이 조성돼 있다.
모든 마을 주민들이 비료를 주고 해바라기 비닐멀칭 재배 등 관리를 하고 마을 환경미화 작업을 하고 있다.
지난해 강주해바라기 축제는 궂은 날씨에도 6만 5000여 명의 관광객이 다녀갔다.
'당신을 기다립니다'라는 해바라기의 꽃말과 같이 초여름의 파란 하늘 아래 태양같이 활짝 핀 수십만 송이의 해바라기가 관람객들을 기다린다.
강주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제1주차장 모습. 평일이지만 주차장에 차량이 많이 보인다.
한 모녀가 주차를 하고 강주마을로 걸어가고 있다.
강주마을 입구를 지나자 마자 해바라기가 방문객을 반긴다.
마을 입구 도로 양쪽 공터에는 해바라기가 심어져 있고 방문객을 반기는 먹거리 매장들이 있다.
해바라기 언덕으로 가는 길에 다양한 판매 부스가 있다.
해바라기 머리띠, 꽃핀과 같은 소품을 팔고 있다.
해바라기 생화 화분을 판매하고 있다. 가격은 7천 원이다.
축제장 입장료는 3천 원으로 카드와 현금 모두 가능하다.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매표소에 종이 모자가 비치돼 있어 모자나 양산을 준비하지 못한 방문객들은 가져가서 사용하면 된다.
해바라기가 있는 언덕으로 가기 위해서는 마을을 가로질러 가야 한다. 걸어서 가다 보면 담벼락에 다양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마을회관 축제장 안내 지도. 해바라기 언덕에는 화장실이 없어 미리 들렀다가 올라가는 것이 좋다.
강주햇살양조장 앞에 막걸리를 판매하고 있다. 시음도 할 수 있다.
찰옥수수와 아이스크림을 판매하는 아르바이트생이 사진을 찍자 손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다.
페튜니아 꽃이 언덕을 올라가는 벽면에 화사하게 피어 있다.
해바라기 언덕 위는 전체적으로 평탄하지만 흙으로 이뤄져 있어 조심해야 한다.
고장 난 트랙터 포토존. 이곳에서 사진을 많이 찍는다.
해바라기 씨앗을 제거해 얼굴 모양으로 만든 모습
꿀벌이 많이 있지만 꿀을 채취하기 바쁜지 사람들에게는 관심이 없어 보인다.
해바라기 언덕에 풍차가 있어 유럽의 시골마을 분위기가 난다.
행사장 곳곳에 원두막 정자와 대형 선풍기가 설치돼 있어 방문객들이 휴식을 할 수 있다.
언덕 위쪽에는 해바라기 옆 공터에 참깨가 함께 심어져 있다.
2단지로 가는 길섶에 있는 이색 해바라기. 꽃잎이 크림색으로 부드럽고 화사한 느낌이 난다.
2단지에 조성된 해바라기 모습 1단지보다 규모가 작고 고랑 사이로 풀이 많이 보인다.
행사장 곳곳에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곳이 있다.
하지만 행사장 주변에 쓰레기들이 버려져 있다. 이상 정창현 기자
방문객의 편의를 위해 주차장 5곳이 있고, 주말에는 추가로 임시주차장 2곳을 운영한다.
평일 운영하는 주차장은 ▲제1주차장(법수면 강주리 411) ▲제2주차장(법수면 강주리 1092-1) ▲제3주차장(법수면 황사리 317) ▲제4주차장(법수면 강주리 422-1) ▲제5주차장(법수면 황사리 362-10) 등으로 5곳이다.
주말에 추가로 운영하는 임시 주차장은 2곳으로 ▲(폐)법수중학교(법수면 우거리 912) ▲강주일반산업단지(법수면 강주리 1420)에 마련됐다.
주차장에서 강주마을까지 운영하는 셔틀버스는 토·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1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셔틀버스 승·하차장은 제2주차장(법수면 강주리 1092)이다.
셔틀버스 하차 후 도보로 축제장까지 이동하며, 축제를 돌아본 후에는 다시 제2주차장으로 돌아와 셔틀버스를 타면 된다.
한편 해바라기 씨앗으로 기름을 짜고 남은 부산물은 가축 조사료로 활용할 수 있지만 씨앗을 수확하지 않는다.
축제위원회 관계자는 "초기에 씨앗을 수확해 판매를 했으나 현재는 축제를 위해 관상용 해바라기 품종으로 조성해 씨앗을 수확하지 않는다"며 "조사료용으로 필요한 농가는 연락을 주면 부산물을 무료로 제공을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