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좌진 명의로 주식 차명 거래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내일 직접 가서 형사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주 의원은 이날 잘신의 페이스북에서 검사 시절 경험을 토대로 자신이 생각하는 이 의원의 차명 주식 거래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했다.

주 의원은 “국회의원은 매년 재산등록을 하고 공개한다. 주식을 차명 보유하면 현금화해도 공식 재산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며 “그런데 왜 보좌관 명의를 빌려 차명 거래를 했을까”라며 운을 뗐다.

주 의원은 “첫째, 국회의원이 취급하는 수많은 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거래하기 쉽다”며 “일종의 미공개 정보 이용 행위”라고 지적했다.

주 의원은 이어 “(이 의원) 주식 화면을 보니 네이버와 LG CNS 종목이 눈에 띈다”면서 “이 의원은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장을 맡았고 AI(인공지능) 정책을 담당한다”고 부연했다.

그러고는 “K-AI 파운데이션 모델 정예팀에 네이버와 LG CNS가 포함돼 있다”며 “호재성 정보를 미리 알고 매입했다는 유력한 정황”이라고 주장했다.주 의원은 그러면서 “이 정도면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에 대한 수사도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의원은 “둘째 자금원의 불법성도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4선 의원이면 13년 가까이 재산 등록을 한 것인데, 드러나지 않은 자금”이라며 “세금을 정상적으로 낸 자금이라면 차명으로 관리했을 리 없다는 게 내 판단”이라고 말했다.

주 의원은 또 “이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주식 거래를 하다가 걸린 적이 있다”며 “보좌관 명의를 빌릴 정도라면 추가 차명계좌가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 의원은 “검찰에서 금융·증권 분야를 주로 담당했다. 날고 긴다 하는 선수들의 수법도 잘 안다”며 “철저히 수사해 한 점 의혹이 없도록 하라”고 말했다.

앞서 한 언론은 이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보좌진 명의로 주식 거래 내역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이 의원 측은 이와 관련해 “이 의원이 본회의장에 들어갈 때 보좌진 휴대전화를 잘못 들고 갔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윤리감찰단에 긴급 진상조사를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