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시절 금융·증권 분야를 수사했던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좌진 명의로 주식 차명거래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내일 직접 가서 형사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주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검사 시절 경험을 토대로 자신이 생각하는 이 의원의 차명 주식 거래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했다.

주진우 의원 페이스북 글

주 의원은 “국회의원은 매년 재산등록을 하고 공개한다. 주식을 차명 보유하면 현금화해도 공식 재산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며 “그런데 왜 보좌관 명의를 빌려 차명 거래를 했을까”라며 글문을 열었다.

그는 “첫째, 국회의원이 취급하는 수많은 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거래하기 쉽다. 일종의 미공개 정보 이용 행위”라고 했다.

이어 “(이 의원) 주식 화면을 보니 네이버와 LG CNS 종목이 눈에 띈다. 이 의원은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장을 맡았고 AI(인공지능) 정책을 담당한다”며 “K-AI 파운데이션 모델 정예팀에 네이버와 LG CNS가 포함돼 있다. 호재성 정보를 미리 알고 매입했다는 유력한 정황”이라고 주장했다.

주 의원은 “이 정도면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 수사도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의원은 “둘째 자금원의 불법성도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4선 의원이면 13년 가까이 재산 등록을 한 것인데, 드러나지 않은 자금이다. 세금을 정상적으로 낸 자금이라면 차명으로 관리했을 리 없다는 게 내 판단”이라고 말했다.

또 “이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주식 거래를 하다가 걸린 적이 있다. 보좌관 명의를 빌릴 정도라면 추가 차명계좌가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주 의원은 “검찰에서 금융·증권 분야를 주로 담당했다. 날고 긴다 하는 선수들의 수법도 잘 안다”며 “철저히 수사해 한 점 의혹이 없도록 하라”고 주문했다.

앞서 인터넷 매체인 더팩트는 이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보좌진 명의로 주식 거래를 하는 장면을 보도했다.

이 주식 계좌에 찍힌 보유 주식은 카카오페이 537주, 네이버 150주, LG CNS 420주 등으로 평가 총액이 1억 원이 넘는다.

이 의원 측은 “이 의원이 본회의장에 들어갈 때 보좌진 휴대전화를 잘못 들고 갔다”는 궁색한 해명을 했다. 이 의원의 지역구는 전북 익산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