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인형뽑기 가게가 조종간으로 집게를 움직여 인형을 뽑는 핵심 기구인 집게의 힘 빼거나 배출구를 임의로 바꿔 놓아 뽑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관련 민원이 크게 늘자 게임물관리위원회가 관리·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19일 진종오 의원(국민의힘)이 게임위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부 인형뽑기방에서 경품 기준을 위반하는 고가 경품을 넣어 계속 돈을 넣도록 유도하고, 집게발이나 배출구를 사전에 심의받는 것과 다르게 변경해 경품을 참가자가 인형을 뽑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뽑기방 내부 모습.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

게임위에 따르면 인형뽑기방을 포함한 청소년게임 제공업소의 수는 지난달 기준 5957곳으로, 최근 2년간 20% 가까이 늘었다.

일반적인 아케이드 게임의 오락실이 코로나19 이후 사양세라는 점을 감안하면 새로운 업소는 인형뽑기방이 대부분일 것으로 파악된다.

인형뽑기방 이용자가 늘어나는 것은 기계 내 카드 결제 기능이 도입되고 무인 운영을 통한 저비용 창업 가능성, 경기 침체 속 가성비 높은 놀이문화 확산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인형뽑기 집게의 힘을 지나치게 약하게 조정하거나 일정 횟수만큼 돈을 투입해야 집게의 힘이 강해지는 등 확률을 조작한다는 의혹과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신문고에 접수된 인형뽑기 관련 민원 건수는 2022년 42건으로 정점을 찍은 데 이어 2023년 12건으로 줄었다가 2024년 21건, 2025년 24건(8월 기준)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현행 게임산업법에 따르면 인형뽑기 기계는 아케이드 게임의 일종으로, 이를 유통하려면 기기 제원, 게임 방법 등이 담긴 설명서와 사후 관리 문답서를 제출하고 게임위의 등급분류 절차를 거쳐야 한다.

모든 이용자에게 동일한 기회와 조건을 부여하고, 우연성이 없어야 게임위 등급을 통과할 수 있다.

진종오 의원은 “인형뽑기는 겉보기에 단순한 오락처럼 보이지만, 무작위성과 확률 조작 등 사행성 요소가 숨어 있어 청소년들이 쉽게 노출될 수 있다”며 “하지만 게임위는 사행성 평가, 확률 조작 실태조사, 해외 규제 현황 파악조차 하지 않고 있어 사실상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게임위는 “업체의 제공 경품 종류와 지급 기준, 제공 방법 등 확인 절차를 강화하겠다”며 “지자체와 경찰에서 단속 및 점검 요청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