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의 개인정보를 외부로 잘못 발송하거나 자료집에 그대로 실어 유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선민 의원(조국혁신당)이 질병청에서 받은 최근 3년간 개인정보 유출 현황에 따르면, 올해 질병청에서 2건의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에 있는 질병관리청 청사.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지난 8월 1일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48명의 이름·성별·연령·체질량지수(BMI) 등이 담긴 결과지가 문자메시지를 통해 24명에게 잘못 발송됐다. 이 문자에는 결과지를 열람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URL)도 포함돼 있었다.

질병청은 사고를 인지한 즉시 URL을 차단하고 수신자들에게 자료 삭제를 요청했다. 피해자 48명에게는 전화·문자 등을 통해 사실을 통보했다.

앞서 6월 25일엔 한국희귀질환재단이 주관한 ‘희귀질환 유전상담’ 심포지엄에서 환자 10명의 이름과 의심 질환명, 검사 결과 등이 담긴 자료집 100부를 배포됐다.

발표 자료를 준비한 연사가 개인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인쇄했다.

현장 발표 화면에는 개인정보가 빠져 있었고 질병청은 다음 날에서야 유출 사실을 확인하고 자료집을 회수했다. 이후 환자들에게 개별 연락을 취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도 사고를 신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