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가 1일 ‘경주 선언’을 채택했다. 또 ‘인공지능(AI) 이니셔티브’와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도 채택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APEC 회원 정상들은 경주선언(Leaders’ Gyeongju Declaration)과 AI 이니셔티브,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 등 총 3건의 문서를 채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북 경주시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서의 한미정상 회담 모습. 대통령실

경주 선언은 올해 APEC의 3대 중점과제인 ‘연결·혁신·번영’을 기본 틀로 무역·투자, 디지털·혁신, 포용적 성장 등 핵심 현안에 대한 주요 논의를 포괄했다.

또 인공지능(AI) 협력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에 대한 회원들의 공동 인식과 협력 의지도 담았다.

대통령실은 “경주 선언은 국제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21개 회원들이 무역을 비롯한 주요 글로벌 경제 현안에 대해 포괄적 협력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경주선언문은 문화창조산업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신성장동력으로 인정하고 협력 필요성을 명문화했다.

대통령실은 “문화창조산업을 명시한 APEC 첫 정상문서”라며 “향후 우리 K-컬쳐가 아태지역내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또 APEC AI 이니셔티브에는 모든 회원이 AI 전환 과정에 참여하고, AI 기술 발전의 혜택을 공유할 수 있게 하자는 내용이 담겼다.

구체적인 내용은 ▲AI 혁신을 통한 경제성장 촉진 ▲역량 강화 및 AI 혜택 확산 ▲민간의 회복력 있는 AI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이다.

대통령실은 “APEC 최초의 명문화된 AI 공동비전이자, 미국과 중국이 모두 참여한 AI에 관한 최초의 정상급 합의문”이라며 “‘AI 기본사회 구현’과 ‘아시아·태평양 AI 센터’ 설립 등 우리 정부의 AI 기본정책과 실질적 AI 협력 방안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에서는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역내 공통의 도전과제라는 인식을 같이 했다.

참석자들은 △회복력 있는 사회시스템 구축 △인적자원 개발의 현대화 △기술기반 보건·돌봄 서비스 강화 등 5대 중점 분야별 정책 방향과 협력 방안을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