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7개 군의 단체장이 25일 서울 정동 국토발전전시관에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대전~남해선 철도 건설 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년)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경남 함양·산청·하동·남해군과 전북 무주·장수, 충북 옥천 군수들이 참석했다. 앞서 이들은 '대전~남해선 철도건설사업 협의체'를 구성했다.

이날 면담은 대전~남해선 철도 건설 사업을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시키기 위해 마련됐으며, 7개 지자체로 구성된 ‘대전~남해선 철도건설사업 협의체’는 사업의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담은 공동 건의문을 김 장관에게 전달했다.

이 협의체는 건의문을 통해 ▲철도 사각지대 해소에 따른 균형발전 촉진 ▲덕유산~지리산~남해안을 잇는 광역 관광벨트 구축 ▲철도 운영 기반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친환경 교통 인프라 확대로 탄소중립 실현 기여 등 사업의 국가적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전~남해선'은 대전–옥천–무주–장수–함양–산청–하동–남해를 잇는 총연장 약 203km의 단선 전철 신설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약 5조 4655억 원 규모다.

전국 7개 군 단체장이 25일 서울 정동 국토발전전시관에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고 있다. 이들은 ‘대전~남해선 철도 건설 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년)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함양군

협의체는 "덕유산과 지리산, 남해안을 잇는 내륙권은 오랜 기간 철도 인프라에서 소외돼 지역 간 이동이 제한되고, 산업·생활 기반 확충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며 "대전~남해선이 구축되면 서울~남해 간 이동시간이 기존 5시간에서 3시간으로 단축될 뿐 아니라 생활권·경제권·문화권이 하나로 연결돼 상생 기반이 마련되는 만큼 반드시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 장관은 "지역의 요구와 사업 필요성을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며,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검토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경남도와 이들 군은 그동안 '대전~남해선 노선 반영 사전타당성 용역'을 하는 등 공동 대응 체계를 강화해 왔다.

단체장들이 25일 서울 정동 국토발전전시관에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함양군

특히 지난 8월에는 7개 군수가 함양에 모여 업무협약을 하고 공동건의문을 채택하는 등 공동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함양군 관계자는 "대전~남해선 철도 건설이 완료되면 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가 개선되고, 지역경제와 관광 산업이 활성화될 것"이라며 "이 사업이 반드시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함양군은 김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지리산권과 남해안권을 잇는 관광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방도 1023호선(함양~하동)의 국지도 승격을 적극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