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5일)은 '입하(立夏)' 절기다.
24절기 중 7번째 절기인데 설 입(立), 여름 하(夏)로 '여름이 선다', 즉 여름이 시작된다는 뜻이다.
입하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들어있다. 해마다 양력 5월 5~6일인데 올해는 어리이날인, 부처님오신날(사월초파일)과 겹쳤다.
절기 입하(立夏)인 5일 경남 진주시 진성면 도동마을 소류지(저수지) 아래 모습. 써래질을 마친 무논에 모내기를 앞두고 물을 가둬 놓았다. 봄꽃들이 지는 자리에 푸른 신록이 채우고 있다. 정창현 기자
입하부터 꽃이 피던 봄은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푸르 입이 세력을 키워 신록의 계절이 된다.
농촌에선 모내기 준비 등 벼농사에 바쁘다. 모판에선 모가 한창 자라고, 밭의 보리이삭들이 패기 시작하는 철이다.
산야엔 개구리 우는 소리가 자주 들리고 지렁이들이 꿈틀거린다. 밭에는 참외꽃 등이 피기 시작한다.
예전 양잠이 성했던 때는 뽕잎이 자라 여인네들이 누에치기에 바빴다.
속담도 여럿 있다.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는 속담은 오래 전 재래종 벼로 이모작을 할 땐 입하 무렵 바람이 많이 불어 못자리에 뿌려놓은 씨나락이 한쪽으로 몰려 못자리 물을 빼라는 뜻이 담겼다.
또 '입하 일진이 털 있는 짐승날이면 그해 목화가 풍년 든다'는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해는 목화가 풍년 든다는 뜻이라고 한다.
■다음은 24절기와 시기, 의미 등이다.
- 입춘(立春)/ 2월 4일 또는 5일. 봄의 시작
- 우수(雨水)/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 경칩(驚蟄)/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 춘분(春分)/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 청명(晴明)/ 4월 4일 또는 5일, 봄 농사준비
- 곡우(穀雨)/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 입하(立夏):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 소만(小滿)/ 5월 21일 또는 22일(농사 본격 시작)
→ 망종(芒種)/ 6월 5일 또는 6일(씨 뿌리기 시작)
→ 하지(夏至)/ 6월 21일 또는 22일(낮이 연중 가장 김)
→ 소서(小暑)/ 7월 7일 또는 8일(더위 시작)
→ 대서(大暑)/ 7월 22일 또는 23일(더위 가장 심함)
→ 입추(立秋)/ 8월 7일 또는 8일(가을 시작)
→ 처서(處暑)/ 8월 23일 또는 24일(더위 식고 일교차 큼)
→ 백로(白露)/ 9월 7일 또는 8일(이슬 내리기 시작)
→ 추분(秋分)/ 9월 23일 또는 24일(밤이 길어지기 시작)
→ 한로(寒露)/ 10월 8일 또는 9일(찬 이슬 내리기 시작)
→ 상강(霜降)/ 10월 23일 또는 24일(서리 내리기 시작)
→ 입동(立冬)/ 11월 7일 또는 8일(겨울 시작)
→ 소설(小雪)/ 11월 22일 또는 23일(얼음 얼기 시작)
→ 대설(大雪)/ 12월 7일 또는 8일(겨울 큰 눈이 옴)
→ 동지(冬至)/ 12월 21일 또는 22일(밤 연중 가장 김)
→ 소한(小寒)/ 1월 5일 또는 6일(겨울 중 가장 추움)
→ 대한(大寒)/ 1월 20일 또는 21일(겨울 큰 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