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일의 실크 테마 복합문화공간인 진주실크박물관이 이달 중순 전시공사를 시작, 올해 9월 마무리한 뒤 개관된다. 진주시는 지난 7일 현장 점검을 했다.
진주실크박물관은 문산읍 실크전문농공단지 내 부지 위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932.31㎡ 규모이며 △상설·기획전시실 △파노라마 영상실 △수장고 △체험교육실 △카페·아트숍 등을 갖추고 있다. 총 21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진주 실크산업 재도약을 위한 ‘진주실크박물관’ 모습. 진주시
박물관 건립은 지난 2019년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에 이어 2021년 5월 문화체육관광부의 공립박물관 설립 사전 타당성 평가를 통과해 본격 추진됐다.
그해 7월부터 건축 설계공모, 실시설계 용역,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 등의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2023년 7월 착공에 들어가 올해 4월 준공했다.
진주는 100년 역사의 세계 5대 실크 명산지로서 진주에서 생산되는 실크가 국내 생산량의 80%를 차지할 만큼 위상이 높고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섬유산업의 전반적인 쇠퇴로 국내 실크산업과 함께 진주실크산업 역시 침체기에 빠져들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시는 국내 실크산업의 선두주자로서 실크산업의 가치를 보존하고 ‘진주실크’의 역사성과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국내 유일의 실크 테마 복합문화공간인 ‘진주실크박물관’의 건립을 추진했다.
현장 점검에 나선 조규일 시장은 “이번 사업의 완료로 침체된 실크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거점시설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진주실크박물관은 실크기업과 시민의 참여로 다양한 계층과 연령이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