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13일 조사료 생산·공급으로 축산농가의 경영부담을 덜기 위해, 올해 조사료 생산 기반 확충에 총 237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국제 곡물 시장 불안정과 기후변화로 인한 생산 여건 악화, 축산업 위축으로 인한 소 사육 마릿수 감소 등 안정적인 사료 생산 기반 확보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도는 조사료 자급률을 높이고 축산업의 생산비 절감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예산을 확대하고 사업지침을 개선했다.

라이그라스 조사료가 재배되고 있는 논 전경. 정창현 기자

올해 예산은 ▲사일리지 제조비 103억 원 ▲조사료 종자 구입비 31억 원 ▲품질관리 2억 원 ▲전문단지(함안) 기반 확충 13억 원 ▲시설·기계장비 구입 68억 원 ▲조사료 확대 편의 장비 20억 원 등 조사료 생산 기반 확충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총 237억 원 규모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전략작물직불제 논 하계 조사료 신규면적을 지난해보다 695ha 늘렸다. 하계 조사료를 지속 생산한 농업인이 전략작물직불 지원대상이 될 수 있도록 재배농지 전체를 대상으로 지원 가능하도록 했다.

특히 조사료 생산에 필수인 기계장비 지원 항목 중 하계 사료작물 수확용 기계장비의 지원 한도를 3억 원에서 4억 원으로 상향 조정해 단가 현실화를 반영했다.

올해도 중요 사업지침 개정 내용으로 사일리지 제조 후 운송비 지원과 관련해 종전 '100km 미만 단거리 운송'으로만 규정되던 내용을 ‘관내(동일 시도) 100km 미만 운송’으로 변경되었고 다른 사업과의 중복지원을 제한하는 조항을 명확히 규정하는 등 기준의 구체성과 형평성을 확보했다.

박동서 경남도 축산과장은 “조사료 자급률 확대와 예산 집행으로 축산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줄이고, 도내 축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