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최근 이재명 정부의 행보에 맹공을 퍼붓고 있다.
호준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16일 논평을 내고 "이재명 대통령이 한일 관계 중시를 표명한 것을 긍정 평가한다. 한일 정상회담이 성공하길 바란다"며 "그러나 국가의 지도자라면 불과 2년 전 자신의 말과 행동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고 유감 표명이라도 해야 한다”고 밝혔다.
호 대변인은 "2023년 12년 만에 셔틀외교가 복원되자 이재명 당시 다불어민주당 대표는 '영업사원이 나라를 판 것', '친일을 넘어 숭일'이라고 몰아세웠다"며 "민주당이 틈만 나면 꺼내 드는 친일몰이를 무릅쓰고 한일 관계는 겨우 정상화 됐고 이재명 정부는 그 열매를 고스란히 따먹고 있다"고 직격했다.
국민의힘은 또 전날 진행된 이 대통령 국민임명식에서 낭독한 '국민께 드리는 편지'를 겨냥, "국민을 현혹하는 말로 점철된 '거짓말의 향연'"이라고 혹평했다.
이 대통령은 2023년 3월 17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영업사원이 결국 나라를 판 것 아니냐”고 말했다.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해온 윤석열 대통령 발언을 인용한 것이다.
그는 "어제 한·일 정상회담은 우리 외교사에서 가장 부끄럽고 참담한 순간이었다. 최대 현안인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일본의 사죄나 반성은 전무했고, 정부가 공언했던 일본의 대응조치 언급조차 없었다"고 했다. 이어 "오므라이스 한 그릇에 국가의 자존심, 피해자의 인권, 역사 정의 전부를 맞바꾼 것이라는 국민의 한탄 소리가 틀려 보이지 않는다"고 폄훼했다.
이 대통령은 3월 15일 공개된 윤 대통령의 요미우리 신문 인터뷰를 두고 "대한민국 대통령이 한 인터뷰가 맞는지 눈이 의심될 지경"이라며 "정부 배상안을 피해자가 공식 거부했고 국민도 반대하는데 대통령은 구상권 청구가 없을 것이라고 일본 눈치만 살폈다”고 했다.
이 대표는 "일본의 군사대국화, 평화헌법 무력화 시도까지 용인하겠다는 태도에 아연실색했다. 이쯤 되면 이 정권에 대한 친일논쟁을 넘어서서 숭일논쟁이 벌어질 지경"이라고 비판했다.
최은석 수석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내고 "이 대통령이 이야기하는 국민은 도대체 누구를 말하는 것인가"라며 "더 나은 나라와 국민 행복 시대는 달콤한 말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최 수석대변인은 "기업들은 미국발 관세 폭탄과 더불어 이재명 정권의 상법 개악, 노란봉투법 제정, 법인세율 인상 등 이른바 '기업 옥죄기' 정책에 경영 환경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고 호소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이 어려워지니 일자리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 7월 기준으로 20대 구직자들이 역대 최대치인 42만 명에 이르고 있다"고 했다.
이어 "과학기술인들이 혁신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했지만, 불과 얼마 전 52시간 관련 법안 개편을 이 대통령과 민주당이 결사반대했던 모습만 봐도 이는 허구에 가득 찬 거짓말임을 알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윤미향 전 의원의 특별사면을 비판하면서 "진영의 대변자에 머무르면서 민생을 외면하는 행보를 계속 보인다면, 현명하신 국민들께서 곧 회초리를 들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