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대 대법원장이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과 만나 이재명 전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논의했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대법원은 17일 입장문을 내고 "최근 정치권 등에서 조 대법원장이 한 전 총리 등과 만나 대통령 공직선거법 사건 처리에 대해 논의했다는 취지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그러나 대법원장은 해당 사건과 관련해 한 전 총리와는 물론이고 외부의 누구와도 논의한 바가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어 "거론된 나머지 사람들과도 제기되고 있는 의혹과 같은 대화 또는 만남을 가진 적이 없음을 명백히 밝힌다"고 했다.

조희대 대법원장. 대법원

최근 민주당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조 대법원장 관련 의혹에 대해 대법원이 공식 반박한 것이다.

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전날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헌재(헌법재판소)에서 대통령 파면 결정이 이루어지고 3일 후인 4월 7일에 한덕수, 정상명(전 검찰총장), 김충식(김건희 여사 모친 측근) 그리고 조희대 대법원장이 만났다는 제보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당시 조 대법원장이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대법원에 올라오면 대법원에서 알아서 처리한다"고 말했다는 제보가 있다고 했다.

이후 민주당은 이를 연결고리로 조 대법원장에 대한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만약 부 의원의 의혹 제기가 사실이라면 조 대법원장을 어떻게 해야 하겠느냐. 내란 특검은 제기된 충격적인 의혹에 대해서 수사해야 한다"고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인 추미애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사실이라면 대법원장의 대선 개입과 정치 개입은 즉각 규명돼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조 대법원장 측도 "한 전 총리와 만난 적도 없고, 이 대통령 사건에 대해 외부 누구와도 만나 이야기한 적이 없다"고 했다.

조 대법원장은 이날 오후 6시 3분쯤 퇴근하면서 "수고하십니다"라는 말만 하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정상명 전 총장도 “조 대법원장과 개인적 친분이 전혀 없다”고 했다.

한 전 총리 측도 이날 시기를 막론하고 조 대법원장과 회의나 식사를 한 사실이 일체 없고, 조 대법원장과 개인적 친분도 전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당사자들의 이 같은 부인에도 민주당은 이를 반박할 증거를 단 하나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