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3일 새 정부 초대 국무총리에 한덕수(73) 전 총리를 총리 후보자로 지명했다.
한 후보자의 낙점 배경은 경제와 외교, 통상분야에서의 경륜과 함께 협치와 통합 차원으로 분석된다. 한 후보자는 노무현 대통령 때 총리를 역임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서울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한 후보자는 정파와 무관하게 오로지 실력과 전문성을 인정받아 국정 핵심 보직을 두루 역임하신 분"이라며 인선을 발표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지명자
윤 당선인은 지명 배경에 대해 "정통 경제 관료 출신으로 경제, 통상, 외교 분야에서 풍부한 경륜을 쌓은 분"이라고 설명했다.
전북 전주 출신인 한 후보자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 미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행정고시 합격 후 통상분야에서 일해오다가 총리까지 지낸 경제관료 출신이다.
보수·진보 진영을 가리지 않고 중용됐다.
김대중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대통령 경제수석을 지냈고 노무현 정부 때는 국무조정실장,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총리를 역임했다. 총리 재임 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기반을 만들었고 이명박 정부에서 주미대사를 지냈다.
윤 당선인 측은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중용됐다는 점 때문에 '여소야대' 청문회 정국을 돌파할 묘수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이로는 한 후보자는 노태우 정부 때의 현승종 전 총리에 몇 개월 못 미치는 역대 두 번째 최고령 총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후보자는 "대한민국을 둘러싼 대내외적 경제와 지정학적 여건이 매우 엄중한 때에 총리 지명이라는 큰 짐을 지게 돼 영광스러우면서도 무겁고 또 큰 책임을 느낀다"고 밝혔다.
그는 '책임총리제'에 대해 "청와대에 과도하게 집중된 권한을 좀 더 내각과 장관 쪽으로 옮겨서 추진 과제에 대해 대통령으로부터 상당한 델리게이션(위임)을 갖고 추진하고 결과에 대해 책임지는 것"이라며 "이것이 행정부 전체 운용에 훨씬 더 효율적이겠다는 것이 당선인의 말씀이고 저도 당연히 동의한다"고 말했다.
총리 인준은 재적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과반이 찬성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이 172석(57.3%)으로 과반 의석인 상황에서 민주당의 협조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