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통더위가 지속되면서 전국 곳곳에서 올여름 최고 기온을 경신했다.
7일 기상청에 따르면 절기상 소서(小暑)인 이날 오후 1시 45분 경남 밀양의 최고기온이 39.2도를 기록했다. 올해 측정된 전국의 낮 최고기온 중 가장 높았다.
이는 밀양에서 기상 관측을 시작한 1973년 1월 이후 7월 상순 기온으로 역대 최고치이며, 7월 기준으로는 역대 두 번째로 높다. 밀양에서는 1994년 7월 39.4도를 기록해 31년 만에 가장 높은기온을 보였다.
지난해 6월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경남 함양의 한 농가에서 농업인들이 양파를 수확해 망에 담고 있다. 일렬로 캐 놓은 양파는 앞서 기계가 작업을 해놓은 것이다. 함양군
밀양시 산내면과 합천군 청덕면은 38.5도, 양산시 상북면은 38.3도를 기록했다.
부산은 중구 대청동 관측소 34도, 강서구 대저1동 관측지점 36.5도를 기록했다.
특히 이날 경북에서 폭염이 기승을 부렸다.
구미와 의성의 낮 최고기온은 38.3도까지 올라갔고 경산 38.1도, 군위 38도, 청도·안동 37.6도, 대구 37.4도, 고령 37.2, 김천 37.1도, 예천 37도까지 치솟았다.
계속되는 폭염에 온열질환자도 크게 늘고 있다.
올해 발생한 전국 온열질환자는 875명이며, 온열질환 사망자는 7명이었다. 온열질환자는 경북 120명, 경남 106명, 경기 104명, 서울 78명, 전남 64명, 전북 62명 순이다.
질병관리청의 올 여름철 모니터링이 시작된 지난 5월 15일부터 7월 5일까지 집계된 수치다.
경남(18개 시·군)은 사망 1명(진주)을 포함해 106명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44명)과 비교해 두 배나 많다. 창원 29명, 진주 16명, 김해·거제 11명, 산청 10명 등이다.
부산은 41명(사망 1명)으로 지난해(8명)에 비해 무려 5배 늘었다. 기장군·해운대구(6명), 남구(4명), 부산진·북·사상구(3명) 등의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문제는 폭염 속 논밭에서 일하다가 사망한 사람 중 온열질환자로 분류되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이다. 경남에선 80대 1명만 온열질환자로 분류됐지만 진주에서만 60대 2명이 폭염 속 논과 밭에서 일하다 사망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최고 체감온도가 35도 내외로 올라 매우 무덥고 열대야가 나타나는 곳이 많겠다"며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크니 건강관리에 각별히 주의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