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폭염이 지속되면서 공업도시 울산에서 올해 누적 온열질환자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남에서도 지난해보다 환자 수가 두 배나 발생했다.

28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감시체계’에 따르면 5월 15일~7월 25일 울산의 누적 온열질환자 수는 총 100명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이 울산에서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13년 이후 같은 기간에 발생한 최다 인원이다.

한 기초단체의 폭염 모니터링 요원이 영농현장에 나가 폭염 행동요령을 안내하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3명보다 약 4.3배 많고, 이전 역대 최대 인원인 2018년 65명보다도 35명이 더 많다.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으로 울산시가 올해 감시체계를 5일이나 빨리 가동했지만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경남에서도 온열질환자가 두 배 이상 늘었다.

최근 집중호우가 쏟아졌지만 지난 20일 비가 그친 뒤 연일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경남 18개 시군에서 울산과 같은 기간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19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0명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사망자도 1명 나왔다.

지난 2일 진주시 금산면에서 밭일하다 숨진 80대 여성이 올해 경남의 첫 온열질환자로 분류됐다.

하지만 논밭일을 하다가 쓰러져 숨진 사례들도 적지 않아 온열질환 관련 사망자는 더 많다. 혼자 일하다가 늦게 발견돼 사인 미상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경남 18개 시군에는 현재 폭염특보가 발효 중이다. 폭염경보는 창원·진주·김해·양산·밀양·사천·함안·창녕·하동·산청·함양·합천, 폭염주의보는 나머지 6개 시군에서 발효 중이다.

경남도는 "폭염 지속에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야외 활동과 외출을 자제하고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음식 관리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반도를 뒤덮은 '열돔 현상'으로 전국에서 온열질환자가 급증했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같은 기간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2183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871명보다 약 2.5배 증가했다. 올해 온열질환 사망자도 11명이다.

정부는 지난 25일 오후 2시부터 중대본 대응 1단계를 가동하고 폭염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동시에 ▲폭염 취약계층 안전 확인·보호조치 ▲ 무더위쉼터 지속 점검·관리 ▲무더위쉼터, 폭염저감시설 운영 ▲ 냉방기 사용 증가에 따른 화재 주의 ▲ 전력 수급 관리 ▲ 농축산수산물 폭염 피해 예방 ▲ 재난 문자·방송, 마을 방송 등 가용매체 활용 폭염 행동 요령 안내 등을 강화했다.

보건 당국도 “폭염에 고령자와 야외근로자, 만성질환자, 어린이 등이 특히 위험할 수 있다”며 “고열, 두통, 빠른 맥박과 호흡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시원한 장소로 이동해 수분 등을 섭취하고 의식이 없으면 119구급대에 신고를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