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남해군은 서면 서호리 일원에서 '삼별초 대몽항쟁 유적지' 발굴해 오는 27일 남해 대장군지 발굴(시굴)조사 현장(서면 서호리 산 178-1번지 일원)에서 공개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남해군은 ‘남해 대장군지’의 역사 문화적 가치를 규명하고 ‘호국성지 남해’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재)삼한문화재연구원(대표 양하석)에 발굴(시굴)조사를 의뢰했다.

남해 대장군지 유적 근경

해당 유적지는 고려시대 대장군인 ‘유존혁’이 삼별초를 이끌고 경상도 연안 일대에서 저항 활동을 하던 대몽항쟁기의 근거지로 전해져 왔다. 지난 1999년 KBS '역사스페셜(8월 7일 39회차)'에서도 소개돼 주목받았다.

또 이곳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시기 의병들의 훈련 장소로도 알려진 만큼 중요한 남해 호국 유적지다.

남해군 서면 서호리 일원 '남해 대장군지 유적' 전경

이번 발굴조사는 지난 6월부터 진행해 현재 유적의 전체 범위가 드러나 ▲성지 관련 석벽 및 축대 ▲5단으로 구성된 대지 ▲건물지 ▲담장 ▲출입로 및 계단 ▲배수구 등 돌로 쌓은 구조물들이 확인됐다.

이와 함께 출토된 유물은 고려시대 청자와 문양 기와·귀신눈무늬(귀목문 또는 일휘문)와 연꽃무늬(연화문) 막새기와·전돌 등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돌로 쌓은 구조물들은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반복적으로 사용돼 상부 구조물이 훼손·유실이 됐다. 하지만 축대와 계단, 건물 터 등이 그대로 남아있어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남해 대장군지 유적 중앙 계단 및 외벽 정면

특히 측면 계곡부 쪽으로 설치된 계단 출입시설과 직경 2m 내외의 커다란 벽석으로 쌓은 축대와 담장 등은 마치 높은 성벽으로 둘러싼 요새와 같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남해 대장군지 내 유물(고려시대 막새기와). 이상 남해군

또 13세기 전후에 만들어진 ▲청자 ▲막새 기와 ▲전돌 등의 유물 등이 발굴된 것을 감안하면, 규모가 크고 중요한 고려시대 건축물이 5단의 대지를 중심으로 축조됐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남해 대장군지 유적은 대몽항쟁기 ‘유존혁’ 장군의 저항 활동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발굴단의 설명이다.

장충남 남해군수는 “진도, 제주도와 더불어 삼별초의 대몽항쟁 근거지 유적을 찾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향후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호국성지의 남해’의 역사를 복원하는 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장 공개 설명회는 별도의 신청 없이 참여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남해군 문화체육과 문화유산팀(055-860-8634)으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