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2주 연속 큰폭으로 하락했다. 하락률은 무려 12.2%포인트로 취임 후 최저치인 50%대 초반을 기록했다.

총리와 장관 등 부적격자 임명에 이어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윤미향 전 의원 등의 범죄자 광복절 특사, 상법개정·노란봉투법·세제개편안 등 3대 반기업 법 처리 강행, 주식 양도세 기준 10억 강화, 집권 여당의 안하무인격 독주 행태 등 일련의 악재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17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 의뢰로 한 8월 2주차 주간 조사에 따르면 이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율은 51.1%로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7월 5주차 때 63.3%에서 8월 1주차 56.5%로 6.8%포인트 하락한 데 이어 이번 주에도 전주보다 5.4%p 떨어지는 등 2주 연속 급락했다.

매우 잘함 40.4%, 잘하는 편 10.7%였다. 반면 부정 평가는 6.3%p 상승한 44.5%로 임기 내 최고점을 찍었다. 매우 잘못함 35.7%, 잘못하는 편 8.8%였다.

리얼미터는 “광복절 특별사면 논란, 주식 양도세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헌정사상 첫 동시 수감 등이 악재가 돼 한 주간 하락세가 계속 이어졌다”며 “특히 민주당 강성 지지층 중심의 정책이 중도층 이탈을 초래했다”고 분석했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지지율 급락에 "앞으론 찬 기업이니 말만 번지르하게 하고 뒤론 반기업 법안 강행 등 특유의 앞 뒤 안 맞는 이율배반 정책이 조국 등 국민 정서와 이완 행태와 만나 악재로 형성됐다"고 말했다. 그는 안하무인격 국정 운영을 고치지 않으면 동력을 크게 잃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간 추이를 보면 지난 8일 56.7%(부정 평가 37.8%)로 마감한 후, 광복절 특별사면 논란이 불거진 12일 54.3%(2.4%p↓, 부정 평가 41.4%)로 하락했다.

김건희 구속 및 국민의힘 당사 압수수색 등 부정적 여론이 확산된 14일에는 48.3%(5.0%p↓, 부정 평가 47.0%)까지 급락했다.

정당 지지도 하락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민주당의 지지율은 전 주 대비 8.5%p 하락한 39.9%를 기록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6.4%p 상승한 36.7%를 기록했다. 양당 간 격차가 오차범위 내인 3.2%p로 줄어들었다.

이 대통령 국정수행평가는 지난 11~14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003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5.2%였다.

정당지지도 조사는 13∼14일 전국 1001명을 상대로 해 4.7%의 응답률을 보였다.

두 조사 모두 무선 100% 자동응답 RDD 방식이었다. 표본오차는 각각 95% 신뢰수준에서 ±2.2p와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