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31일 일자리 민생 안정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를 중점으로 하는 올해의 일자리 계획을 누리집에 공시했다.
이번 계획은 고용률(15~64세) 68.5%, 청년고용률(15~29세) 37%, 취업자 수 146만 6천 명 달성 등 지표별 개선 목표도 함께 제시했다.
올해는 총 273개 일자리 사업에 2조 3804억 원을 투입해 지난해 대비 6336개 늘어난 19만 6천여 개의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경남도청사 전경. 경남도
6대 핵심 전략은 ▲산업인력수급을 위한 세대별 맞춤 일자리 지원 ▲미래산업 일자리 확대 ▲민간주도 일자리 확대 ▲지속가능 일자리분야 확대 ▲창업 생태계 활성화 ▲일자리정책 역량 강화 등으로 21개 중점과제와 68개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특히 취업취약계층을 위한 직접일자리 확대와 조기 채용을 돕고, 인구감소에 대응할 청년, 노인, 장애인, 여성 등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 일자리 민생안정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또 기업의 직무 중심 채용 변화에 대응해 ▲청년의 단계별 일 경험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구직의욕 고취와 직장적응 지원 ▲기업 채용 연계 취업 지원 ▲대규모 채용박람회 개최 등 청년의 노동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도내 산업 인력난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체계적인 산업현장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과 빈 일자리 채움 취업 지원 ▲대중소 상생협력을 통한 이중구조 개선 등 산업현장의 빈 일자리 매칭에도 집중한다.
탈탄소화에 따른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예정에 따른 고용 위기 대응을 위해 원활한 이·전직과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 산업전환 대비 고용안정 지원사업도 신규로 한다.
조현준 경남도 경제통상국장은 “고용 지표가 호조세를 보이고 있지만,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해 민생 경제 안정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일자리를 통해 지역이 성장하고 희망의 경남이 되도록 온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남도는 지난해 역대 최고 고용률 63.5%(2023년 6월), 역대 최저 실업률 1.2%(2023년 8월)을 달성해 고용노동부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평가'에서 전국 1위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