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1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경남도 도시정책 마스터플랜 최종보고회 및 2045 미래도시 비전 선포식’을 가졌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이 자리에서 경남 전역의 공간 구조를 광역생활권 중심으로 재편하는 ‘도시정책 마스터플랜(기본 계획)’의 방향을 발표했다. 도내 도시공간 구조를 시군 단위 중심에서 광역생활권 체계로 재편해 지역균형발전과 도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1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경남도 도시정책 마스터플랜 최종보고회 및 2045 미래도시 비전 선포식’에서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을 발표하고 있다.

이날 박완수 도지사는 “경남의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은 단순한 공간계획을 넘어 도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실천 전략”이라며 “경남의 18개 시군이 각자의 기능을 분담해 조화롭게 발전해 나가는 광역도시계획을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작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인구가 감소하는 시대에 맞춰 도시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콤팩트 시티(compact city·작은 도시)등의 전략이 필요하다”며 “남해안권 등 주요 지역에 대해서는 개발과 보존의 원칙을 정립해 계획적이고 책임 있는 공간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도시의 구조적 문제, 인구감소, 지역 불균형 등 당면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23년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기본 계획은 경남 전역을 4개 광역생활권으로 나누고, 권역별로 지역의 특성과 미래 발전 가능성을 반영했다.

4개 광역생활권은 ▲ 동부권(창원·김해·양산·밀양·창녕·함안) ‘첨단혁신거점권(Brain Region)’ ▲서부권(진주·사천·의령·하동·남해) ‘미래공간혁신권(Neo-Space Region)’ ▲남부권(통영·거제·고성) ‘해양경제중심권(Oceanopolis Region)’ ▲북부권(거창·함양·합천·산청) ‘녹색미래발전권(Eco-Innovation Region)’이다.

경남도 도시정책 마스터플랜. 이상 경남도

이날 보고회에는 마스터플랜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도민·전문가 협업체계 구축 방안이 공유됐으며, 시군 단체장들과 함께 비전 퍼포먼스도 진행해 공동의 책임과 협력을 다짐했다.

마강래 중앙대 교수는 기조 발표에서 “경남이 도 단위 최초로 생활권 중심의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한 점은 도시계획의 모범사례”라며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주도의 공간정책으로 전환하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앞으로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을 기반으로 시군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생활·산업·교통·환경 등 도시 전반에 걸쳐 체계적인 정책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광역 단위의 공간계획 수립으로 중장기적인 지역균형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고,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대응하는 미래형 도시 전략을 지속적으로 보완·실행 한다.

이번 최종 보고회와 비전 선포식을 계기로 시군과 관련 부서 및 전문가와 함께 도시정책 마스터플랜의 제도화와 실행 기반 마련을 위한 후속 절차를 본격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