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경남도교육청 국정감사에서 학교법인 웅동학원(창원시 진해구 소재)의 사회 환원과 채무 변제 문제를 둘러싼 공방이 오갔다.

국회 교육위원회의 경남도교육청·부산시교육청·울산시교육청 국정감사는 23일 창원시 경남교육청 2층 강당에서 열렸다.

서지영 의원(국민의힘·부산 동래구)은 지지부진한 웅동학원 사회 환원 문제를 꺼내 들었다.

23일 경남교육청 2층 강당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경남·부산·울산 교육청 국정감사에서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오른쪽)이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의 웅동학원 관련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국회방송

웅동학원은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 일가가 운영한 사학법인이다.

조 위원장은 지난 2019년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가족이 법인 운영에서 손 떼고 자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웅동학원은 당시 향후 10년간 91억 원상당의 부채를 상환하겠다는 계획서를 교육청에 제출했다.

하지만 이행 실적이 지지부진해 비난을 받아 왔다.

조 위원장의 모친은 지난달에서야 웅동학원 이사장직에서 사임했다. 사회 환원을 약속한 지 6년 만이다. 앞서 조 위원장의 외삼촌도 이사직에서 물러나 조 위원장 일가는 이사회에서 모두 퇴진했다.

서 의원은 “웅동학원의 부채 91억 원 중 지난 6년간 변제된 금액은 1억 원에 불과하다”며 “채무를 10년에 걸쳐 갚겠다는 계획을 냈지만 이행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종훈 경남교육감에게 “왜 6년 동안 그것을 방관했느냐”며 따져 물었다.

박 교육감은 “방관했다고 말하면 참 억울하다”며 “법인에 변제 계획을 요청했고 채권자인 자산관리공사와 법인, 교육청이 함께 3자 협의체를 구성해 협의 중”이라고 답했다.

박 교육감은 사회 환원 방안에 대해서는 “국공립으로 전환하거나 공익적인 기관·단체가 운영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서 의원은 “지난해 국감에서도 지적한 사안임에도 협의체는 1년 뒤에야 꾸려졌다”며 “교육감이 재직한 12년은 웅동학원의 부정과 비리를 용인한 시간이었고 지금 제출된 변제 계획은 의지가 없는 계획”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필요하면 해산 조치까지 고려해야 한다. 웅동학원이 교육감 임기 중에 사라져야 명예롭게 퇴장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