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여름철 집중호우·태풍·폭염 등으로 인한 축산피해 최소화를 위해 '여름철 축산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축사시설 전기 안전점검 모습. 경남도 제공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여름철 강수량은 평년(622.7~790.5㎜)과 비슷하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대기 불안정으로 많은 비가 내릴 때가 있고 평균 수온 상승에 따라 가을태풍(9~10월)이 증가추세로 적극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우선 여름철 풍수해를 사전예방하기 위해 도내 축산피해 우려시설 65곳에 지난 16일부터 오는 31일까지 사전예방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오는 6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5개월 간) 상황관리반, 기술지원반, 신속대응반 등 3개반 16명으로 구성된 ‘여름철 축산 재해대책 상황팀(TF)’을 운영한다. 기상특보 및 피해예방요령을 전파하고 긴급 재해 발생시에는 피해상황 파악과 복구대응을 위해 시·군, 지역축협, 축산단체와 긴밀하게 공조체계를 구축해 재해예방, 피해경감, 지원대책 등 여름철 재해 대응 태세를 갖출 계획이다.

더불어 ▲무더위 방지 기계장비 설치에 2억 원 ▲축사시설 현대화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사업에 295억 원 ▲재해 피해에 대비한 가축재해보험료 60억 원 ▲축산농가 사료첨가제에 6억 원 등을 투입해 축산농가 피해 최소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축사시설이 현대화·규모화됨에 따라 전력불안정시 대규모 피해예방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축산농가 비상발전기 설치에 12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양진윤 경남도 축산과장은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인한 침수 및 붕괴 우려지와 노후시설에 대한 사전점검으로 재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고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없도록 축산농가에서는 여름철 가축 등 관리요령을 사전에 숙지해 줄 것과 전기 과다사용으로 인한 합선, 누전 등 화재예방에도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경남도내에는 1만 2349농가에서 약 1300만 마리의 소, 돼지, 닭, 오리 등 주요 가축이 사육되고 있고, 축산업 허가(등록)시설은 1만 353개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