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단독] "경남도지방경찰청? 경남도경찰청?"···명칭 변경 3년 지나도 포털 '홈피 접속 대문'엔 함께 기재돼 혼란 부추겨

정기홍 기자 승인 2024.04.22 03:10 | 최종 수정 2024.04.26 15:26 의견 0

경찰청이 산하 광역 시·도 경찰청 명칭을 변경한 지 3년이 지났는데도 포털 사이트를 통한 '홈페이지 접속 대문'에는 이전 명칭과 함께 적시돼 있어 이용자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경찰청은 지난 2021년 7월 '자치경찰제' 시행을 앞두고 그 해 1월부터 광역 시·도 경찰청에 붙던 '지방'을 뺀 청사 명칭 현판을 교체했다. '경상남도지방경찰청'을 '경상남도경찰청'으로 바꾸었다. 그간 해왔던 국가 위임 사무뿐 아니라 지방자치 사무도 관장해 진정한 자치경찰 일을 한다는 차원에서 변경했다.

더경남뉴스가 최근 포털사이트 구글을 점검한 결과 상당수 지역 경찰청의 명칭이 혼재 기재돼 노출되고 있었다. 언론 기사나 블로그 등 일반인의 글이 아닌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는 '대문(제목)'에도 명칭 변경 전에 쓰던 '지방'을 써놓은 곳이 많았다.

구글의 국내 포털 시장 점유율은 30~40% 초반을 오르내리며 큰 비중을 점유하고 있다.

지난 2021년 7월 바뀐 경남도경찰청 CI. 그 해 1월 청사 출입구엔 현판을 갈아달았다.

검색어 '경남경찰청(경남도경찰청)'로 검색해 노출된 모습

검색어 '경남지방경찰청'으로 검색해 노출된 모습

경찰청은 지난 2021년 1월 초에 전국 지역 경찰청의 명칭에 '지방'을 뺀 현판 교체식을 마쳤다. '서울특별시지방경찰청'은 1월 3일 '서울특별시경찰청(서울경찰청)'으로, 경남과 부산경찰청도 다음 날 4일 '지방'을 뺀 문패를 갈아 달았다.

지역 경찰청 명칭 변경은 경찰법이 개정돼 2021년 7월 '자치경찰제'가 시행되면서다. 1991년 경찰청 개청 이후 30년 만의 변경이었다.

‘지방’이란 단어를 뺀 것은 국가경찰사무 말고도 자치경찰사무도 수행해 진정한 지방자치경찰 업무를 한다는 취지를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부산경찰청을 검색어로 넣었는데도 '부산지방경찰청 지점' 제목으로 안내되고 있다.

운영이 중단된 듯한 부산지방경찰청 페이스북. 지금은 '부산경찰' 페이스북을 따로 운영 중이지만 통합을 하든 없애야 이용자들이 헷갈리지 않는다.

서울경찰청 교통정보센터 안내와 아래의 서울지방경찰청의 종합교통정보센터 안내. 아래 것을 누르면 페이지가 작동되지 않는다.


서울지방경찰청 종합교통정보센터를 누른 후 나오는 메시지. 통합해 없애야 이용자의 불편이 해소된다.

'울산지방경찰청'을 검색어로 넣으면 노출되는 페이지. 두 명칭이 혼재돼 있다.

부울경 지역 경찰청 말고도 광주, 대전, 전남에서도 비슷하게 혼재 사례는 더 있었다.

광주시경찰청의 명칭 혼재 모습

대전시경찰청도 변경 전과 후의 명칭이 같이 노출돼 있다.

전남경찰청도 혼재돼 있다.

다만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경찰청은 변경된 명칭으로 통일이 돼 있었다. 또한 세종과 제주, 강원, 전북 등 전국 4개 특별자치 시·도도 행정조직 개편 때문이어선지 정리가 잘 돼 있었다.

전북경찰청은 최근 특별자치도가 되어서인지 정돈이 잘 돼 있다.

참고로 일반 광역 시·도 행정 조직은 1개 특별시, 6개 광역시, 일반 시도 6개가 있다. 또 4개 특별자치시·도로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강원과 전북특별자치도가 있다. 모두 17개 광역 시·도다.

그런데 광역 시·도 경찰청은 전국에 18개가 있다. 인구가 많은 경기도에서 남부와 북부로 나눠져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명칭이 헷갈리다보니 지역의 신문 매체들도 잘못 쓰는 경우도 나온다.

경남의 한 지역 매체에서는 2023년 1월 경남도경찰청 인사 기사에서 '경남지방경찰청'으로 썼다. 기자 개인의 단순 실수일 수 있지만 바뀐 포털에서의 혼재로 명칭을 잘못 썼을 수도 있다. 2023년 1월이면 경남도경찰청이 청사 입구 문패를 교체한 지 만 2년이 지난 시기다.

표기 혼재는 포털(담당자)의 문제일 수 있고, 경찰 부서의 게으름 등 무책임에서 비롯됐을 수도 있다.

수개 월 전 경남도경찰청에 명칭과 관련해 전화 문의를 했으나 되레 "어떻게 쓰든 그게 무슨 대수냐"는 면박만 당했다.

며칠 전엔 경찰청에 다시 문의를 했으나 담당 직원도 "지방경찰청"이라고 하는 등 횡설수설하며 제대로 알고 있지 않았다.

복수의 명칭 사용을 서비스 차원으로 인식한다면 잘못된 인식이다. 명칭을 통일시킨 광역 시·도 경찰청과 그렇지 않은 지역 경찰청은 확연히 구분이 된다. 한 쪽은 잘 한 일이고, 다른 한 쪽은 잘못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지방'이란 단어를 없앤 자치경찰제의 취지에도 맞지 않다. 전국의 18개 광역 시·도 경찰청 문패를 바꾼지 벌써 3년이 지났다.

기자가 지인 몇 명에게 경남도경찰청의 명칭 인지도를 물었다. 모두가 '경남지방경찰청'으로 알고 있었다.

경남 창원시에 사는 백 모(50대) 씨는 "평소 관심을 갖고 있지는 않았지만 경남지방경찰청으로 알고 있다. 명칭이 바뀐 지 무려 3년이 지났다면 명칭 통일은 많이 늦었다"며 "혼재된 명칭을 그대로 두고 있다는 것은 방기"라고 지적했다.

요즘엔 누구나 궁금한 것은 포털사이트에서 답을 찾는다.

혼재돼 있거나 검색 오류가 나오는 공식 사이트의 잘못된 명칭은 빨리 바로잡아야 한다. 포털 업체에 협조 공문을 보내면 어렵지 않게 고칠 수 있는 문제다.

저작권자 ⓒ 더경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