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년 7월 창원, 마산, 진해 등 3개 시를 통합해 출발한 창원시의 인구(주민등록인구)가 14년 만에 100만 명(외국인 제외) 아래로 떨어졌다. 특례시 기준인 100만 명을 믿돌아 자격 박탈도 우려되고 있다. 2년 연속 100만 명 이하로 떨어지면 특례시 자격이 박탈된다.
6일 창원시에 따르면 통합창원시 주민등록인구는 지난 2024년 11월 말 기준 99만 985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 말 100만 693명에서 835명이 빠져나갔다.
창원시 인구는 통합 당시인 2010년 108만 1808명이었다. 이어 2012년 5월 109만 2554명을 점점을 찍으며 내리막길을 걸었다.
이어 2015년 107만 64명, 2020년 103만 6738명, 2021년 103만 2741명, 2022년 102만 1487명, 2023년 100만 9038명이었다. 저출산과 젊은층의 수도권 유출이 큰 영향을 미쳤다.
5개 구청별 2010년 통합 때와 2024년을 비교하면 ▲의창구 25만 1647명→20만 9695명(4만 1952명, 17% 감소) ▲성산구 25만 1073명→24만 4489명(6584명, 3% 감소) ▲마산합포구 18만 6420명→17만 8211명(8209명, 4% 감소) ▲마산회원구 22만 5182명→17만8724명(4만 6458명, 21% 감소)으로 줄어들었다.
다만 진해구는 17만 5859명에서 18만 8739명으로 1만 2880명(7% 증가)으로 늘었다.
창원시 인구가 100만 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특례시 지위도 흔들릴 우려가 있다.
창원시는 비수도권 시군 중 유일하게 인구 100만 명을 넘어서 2022년 1월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에 주는 '특례시' 인증을 받았다.
다만 특례시 자격에서의 인구 규모는 외국인도 포함돼 100만 명을 넘기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102만 1194명이다. 이 중 내국인 99만 9858명, 외국인 2만 1336명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인구 감소 추세라면, 2만 명(외국인 수)이 더 붕괴하는 것도 시간 문제일일 수밖에 없다.
특례시 자격은 2년 이상 인구 100만 명을 유지하지 못하면 지정이 취소될 수 있다.
인구 감소 원인은 저출산이 기본이고, 대학 진학으로 수도권 유출과 청년 일자리 부족이다. 창원에는 기계와 방산 등 성장거점형 기업체가 많지만 첨단 산업생태계의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해 정체하고 있다.
창원시 관계자는 "2019년까지는 일자리, 교육, 주거 등 다양한 원인으로 수도권, 부산, 김해 등으로 인구 유출이 많았다"면서 "2020년부터는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은 자연감소 원인이 더해져 인구가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당장 창원시의 발등에 불이 떨어져 인구 유출 방안 마련에 부산하다. 장기적으로 도시의 사회경제구조를 바꾸는 근본적인 인구 정책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인구정책 비전으로 '사람과 기업이 모여드는 혁신과 활력의 도시 창원'을 내걸고 ▲혁신산업 일자리 창출 ▲청년세대 미래보장 ▲사회적 돌봄체계 강화 ▲인구변화 대응체계 구축 등 4대 전략을 수립해 시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