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4일 자신이 여권 차기 대선주자로 부상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국민들이 답답하시니까 그렇게 응답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를 마친 뒤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높게 나온다’라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고용부

김 장관은 자신의 조기 대선 출마와 관련해 "대통령 계엄 수사와 재판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조기 대선을 현실적으로 아직 단정할 수 없다"며 "전혀 검토하거나 생각한 게 없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최근 여론조사에서의 높은 지지율에 대해선 "국민들이 답답하니 그렇게 응답을 하는 것 같다"며 "정국이 너무 비상식적으로 가고 있는데 '저 사람이 말하는 거는 어쨌거나 어느 정도 지나고 보니까 맞는 것 같다'는 게 좀 나오는 것 아니겠나 이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이 석방이 되고, 탄핵이 없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해서 지지율이 오르는 건지 모르겠는데 그 외에는 한 일도, 한 이야기도 없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선 "계엄의 정당 여부를 떠나 대통령은 계엄으로 모든 것을 다 잃고 감옥에 갇혀 있다"며 "제가 만약 국무회의에 참석했다면 (계엄에) 강력하게 반대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여당 의원들이 서울구치소에 구속 수감된 윤 대통령을 면회하는 것에는 "면회하면 그게 내란 동조가 되느냐. 대통령은 아직까지 1심 판결도 안 하지 않나. 기소만 됐다 뿐이지 유죄로 추정해서 면회도 가지 않아야 된다는 이런 이야기는 너무나 비인간적이고 가혹한 말씀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특히 김 장관은 지난달 11일 열린 '12·3 비상계엄 사태' 국회 긴급 현안 질문 때 서영교 민주당 의원의 국무위원 사과 요구를 홀로 거부한 데 대해 "앉아 있는 국무위원 전원이 일어서서 무조건 사과하고 절을 하라고 강요하는 것은 국회의원 권한과 금도를 넘는 직권남용"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