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방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기 위한 조직 및 인력을 빠른 시일 내에 만들어 사업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LH는 23일 이 내용이 담긴 ‘2025년 업무 계획’을 내놓았다.

LH 경남 진주 본사 전경. 정기홍 기자

이에 따르면 LH는 급증하는 지방 미분양 아파트를 해소하기 위해 조직을 신속하게 가동해 구체적인 매입 기준을 마련해 매입 공고를 내기로 했다.

이는 정부가 지난 19일 열린 민생경제 점검회의에서 내놓은 지역 경제 활성화의 후속 대책이다. 정부는 LH에서 지방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한다고 밝혔었다.

국토교통부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미분양 된 전국의 아파트는 7만 173가구다.

비수도권 물량은 5만 3176가구다. 또 준공 후 미분양 주택 2만 1480가구 중 지방분은 1만 7229가구다.

LH는 또 전세사기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 뒤 경매 차익 피해자에게 지원하기로 했다.

한편 LH는 올해 공공주택 사업 승인 목표치를 지난해(10만 5000가구)보다 5000가구가 줄어든 10만 가구로 책정했다.

이 물량 중 37%는 청년·신혼부부·고령자에게 공급한다.

LH는 건설 원가 급등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경색 여파로 주택 공급 불안 우려가 지속되고 있어 공공주택 승인과 착공 일정을 과감히 앞당기기로 했다.

또 올해 공공주택 착공 목표치는 지난해 5만 가구에서 20% 늘어난 6만 가구로 정했다.

도심 내에 신속한 주택 공급과 비(非)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 매입임대주택 5만 가구, 구축 매입 임대주택 4000가구, 전세임대주택 3만 6000가구 등 9만 가구를 공급한다.

지난해 약정한 신축 매입임대 물량이 빠르게 공급되도록 건축 인·허가 지원, 조기 착공 물량 혜택(착수금 지급) 부여, 입주자 모집 시점 ‘준공 이후’에서 ‘착공 이후’로 변경 등을 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