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25일 경북도청 신도시 인근인 안동시 풍천면으로 번지면서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까지 직선거리로 10㎞ 앞까지 다가섰다.

지난 22일 의성군 안평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옥산면으로 동진해 24일 오후 4시쯤 안동시 길안면을 덮쳤다. 또 22일 의성군 안계면에서 난 산불이 신평면을 거쳐 북쪽으로 번지면서 25일 오후 풍천면으로 확산됐다.

안동시는 이날 재난 문자메시지를 통해 전 시민에게 대피령을 내렸다. 의성군의 천년고찰인 고운사도 산불로 전소됐다.

한국관광공사

안동시는 오후 3시 31분쯤 재난 문자를 통해 “의성 산불이 풍천면으로 확산 중”이라며 “어담 1리와 2리, 금계리, 인금1리와 2리 마을 주민들은 즉시 신성초등학교로 대피하라”고 주민 대피령을 내렸다.

이후 재차 재난 문자로 “관내 전역으로 산불 확산 중”이라며 “전 시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 주시고, 먼저 대피하신 분들은 안전한 곳에 머물러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안동시는 이날 오후 4시 55분 재난 문자를 통해 “현재 강한 바람으로 산불이 급속도로 확산 중이다. 하회리 마을 주민들은 즉시 저우리마을(광덕리 133)로 대피 바란다”고 안내했다.

산불이 확산된 풍천면 인근 풍산면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이 있다.

산림 당국은 "산불 확산 지역과 하회마을은 직선거리로 10여㎞ 떨어져 있다"고 설명했다.

대비 인원은 안동시 길안면, 임하면, 일직면, 남선면 356명과 시설 입소자 770명이며 체육관, 마을회관, 요양기관 등에 피신해 있다.

한편 의성군 단촌면에 있는 천년고찰 고운사 건물도 이날 오후 4시 50분쯤 모두 불에 탔다.

경북도는 전날 소방차를 동원해 고운사 주변에 물을 뿌렸지만 강풍을 타고 넘어온 산불을 막지 못했다.

스님 등 20여 명은 안동시 서후면에 있는 봉정사로 대피했다.

고운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本寺)로 신라 신문왕 때인 681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라 학자인 최치원이 이곳에 머물며 가운루, 우화루 등 누각을 지었다. 고운사도 최치원의 자(字)인 ‘고운(孤雲)’에서 딴 것이다.

고운사의 보물 3건 중 석조여래좌상은 인근 안동청소년문화센터로 옮겨 화를 면했지만, 조선시대 건축물인 연수전과 가운루는 전소됐다.

22일 의성군 안평면 사찰인 운람사도 불에 탔고 이날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촬영지로 유명해진 안동 길안면의 만휴정도 전소됐다.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는 이날 오후 3시 30분을 기해 서산영덕고속도로 안동분기점(JCT)∼청송교차로(IC) 구간 양방향 구간을 통제한다고 밝혔다. 한국철도공사도 이날 안동-경주 구간 철도 운행을 일시 중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