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27일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대규모 판매시설 주소 세분화 사업'에 창원 마산어시장과 진주농산물도매시장 2곳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에는 전국 6개 지자체 8곳(도매시장 6곳, 전통시장 2곳)이 신청했으며, 경남도는 2곳이 최종 선정됐으며 전액 국비로 추진된다.
전통시장은 구역이 넓고 골목이 많아 긴급 상황 시 구조대원이 특정 점포를 찾기 어렵고, 일반 이용객들도 점포를 찾는 데 불편이 많았다. 상인들 역시 우편물 수령 등에서 불편을 겪어 왔다.
이에 따라 시장 내 점포에 건물 내 상세 주소를 부여하는 사업을 한다.
진주농산물도매시장 전경
천태문 마산어시장 상인회 회장은 “마산어시장은 넓고 골목이 많아 외지 이용객들이 점포를 찾는데 어려움이 컸다”며 “이번 사업으로 점포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어 시장 활성화는 물론, 상인들의 택배 배송 편의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창원시 마산어시장 전경. 이상 경남도
사업은 시장 내 점포별 현장조사를 거쳐 상세주소 부여 기초자료 데이터를 도로명주소시스템에 등재하고, 주소정보 안내시설물 등을 올해 안에 설치한다.
점포에 부착될 상세주소판의 디자인, 사업자등록증 등 공적장부 변경과 관련해서도 상인회와 협의해 상인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경남도는 이번 사업으로 시장 이용객과 상인들이 보다 쉽고 정확하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도내 대규모 전통시장 주소체계의 현대화를 한다.
신종우 경남도 도시주택국장은 “주소 세분화 사업은 응급 상황 시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은 물론, 물류·우편 서비스의 정확성을 높여 상인들의 비즈니스 환경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