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한 SK텔레콤 서비스 가입자가 '휴대전화 먹통 현상'을 겪은 뒤 계좌에서 5000만 원을 털린 것은 이번 유심 정보 유출과 무관한 '스미싱 공격'에 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28일 부산 남부경찰서에 따르면 부산의 60대 남성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 타사의 알뜰폰으로 개통돼 계좌에서 5000만 원을 탈취당했다.

경찰은 이 건이 휴대전화 기기에 대한 스미싱 공격인 것으로 보고 정확한 경위를 수사하고 있다.

스미싱을 노린 피싱 문구 사례. 이 피싱 문자를 받은 지인은 '××× 사촌 형님' 명의로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하지만 사촌 형에게 결혼할 자식이 없다는 것을 알고 피싱임을 알았다고 했다. 숫자 뒤 영어 단어 배열이 눈에 익지 않고 조잡하다. 정기홍 기자

A 씨는 지난 22일 쓰고 있던 SK텔레콤 휴대전화의 계약이 갑자기 해지돼 통신사를 방문해 확인한 결과 자신 명의 알뜰폰이 KT에서 새로 개통된 사실을 알게 됐다.

A 씨는 이후 자신의 계좌에서 1000만 원씩 다섯 차례에 걸쳐 총 5000만 원이 모르는 사람에게 이체된 것을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했다.

당초 A 씨는 이 탈취 사건을 지난 19일 발생한 SK텔레콤 유심 해킹으로 의심했다.

유심엔 이동통신망에서 개인 식별, 인증 등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돼 있어 누군가 자신의 개인 정보를 이용해 휴대전화를 개설하고, 이를 통한 인증 등을 거쳐 계좌의 돈을 빼냈을 것이라 봤다.

하지만 경찰과 IT 당국 조사 결과, A 씨는 부고 문자를 위장한 피싱 링크를 눌렀다가 개인 정보가 휴대전화에서 해킹되는 스미싱 공격을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SK텔레콤은 "이 사건은 최근 발생한 해킹 건과 관련성이 낮아 보인다"며 "금융 거래를 하려면 주민등록번호와 인증 관련 민감 정보들이 필요한데, 해킹으로 이런 정보가 유출된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