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전체 68개 점포 가운데 점포를 임차한 부동산위탁관리회사(리츠) 등과의 임대료 협상이 진전되지 않은 15곳을 순차 폐점하기로 했다.
본사 직원을 대상으로 무급휴직 신청도 받는다.
홈플러스는 13일 대표 명의의 문자 메시지 입장문을 통해 “회생 절차 개시 이후 5개월이 지난 현시점에서 점차 자금 압박이 가중되는 상황"이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 생존 경영 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측은 “일부 대형 납품업체들이 정산 주기를 단축하거나 거래 한도를 축소하고, 선지급과 신규 보증금 예치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면서 현금 흐름이 악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지난 7월 전 국민 대상 민생 지원금 사용처에서 대형 마트가 포함되지 않아 최근 홈플러스의 매출 감소 폭은 더욱 확대됐다”고 했다.
15개 대상 점포는 부산장림점·감만점, 울산북구점·남구점, 대구 동촌점, 서울 가양점, 인천 계산점, 경기 시흥점·일산점·안산고잔점·수원원천점·화성동탄점, 대전 문화점, 충남 천안신방점, 전북 전주완산점 등이다.
경남 진즈시에 있는 홈플러스 진주점. 진주점은 폐업 점포가 아니다. 정기홍 기자
홈플러스는 전체 점포(126개) 가운데 절반이 넘는 68개 점포를 빌려서 영업하고 있다.
126개 점포 가운데 8개 점포는 회생 절차 시작 전에 폐점이 결정됐고, 8월 1일 경기 부천상동점이 재개발로 문을 닫았다. 이번에 추가로 15개가 폐점되면 102개 점포만 남는다.
다만 홈플러스 관계자는 “향후 11개 점포는 재입점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홈플러스는 본사 직원을 대상으로 무급 휴직 희망자를 받기로 했다.
지난 3월부터 시행 중인 임원 급여 일부 반납도 기한을 회생 성공 시까지 연장한다.
조주연 공동대표는 이날 메시지를 통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한다면, 인가 전 인수합병(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봉착한다”며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위기는 단순한 유통기업의 경영 이슈가 아닌, 민생경제와 고용안정에 직결되는 문제”라며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 역시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긴급 생존경영 체제 돌입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자구노력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또다시 회사를 쥐어짜는 것”이라며 “홈플러스의 브랜드 가치는 전국 각지에서 운영되는 매장에 있는데, 이들 매장을 포기한다는 것은 곧 홈플러스를 포기하는 것" 이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앞서 MBK가 분할 매각이 아닌 통매각을 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번 결정은 그 약속을 뒤집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홈플러스는 3월부터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다. 지난 6월부터는 법원 허가에 따라 회생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