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은 멸종위기 1급 담수어류인 '꼬치동자개' 복원을 위한 방류 행사를 11일 남강 상류인 경남 함양군 수동면 일원에서 진행했다.

꼬치동자개는 낙동강 중·상류 일부 수계에만 분포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경북 성주군 및 고령군 등 전문가 자문을 거쳐 방류 대상지로 선정된 바 있다. 꼬치동자개는 물이 맑고 자갈이나 돌의 크기가 다양한 서식지가 적합한 환경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복원센터 직원들이 꼬치동자개 준성체를 남강 상류인 함양군 수동면 일원에 방류하고 있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복원센터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2018~2027년)에 따라 진행 중인 멸종위기 담수어류 생태특성 및 보전방안 연구 일환으로 진행됐다.

꼬치동자개를 방류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이상 함양군 제공

낙동강유역환경청, 함양군, 수동초교 학생 및 교사, 주민 대표, 담수어류 보존 협의체, 수달친구들 등 40여명이 참석, 인공 증식한 꼬치동자개 준성체 500개체를 방류했다.

함양군 관계자는 “멸종위기 1급인 꼬치동자개가 방류된 함양군 남강 유역의 하천정비 공사를 줄이고, 생활하수, 축산폐수 등 오염원이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철저한 수질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