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청 앞 서울광장 지하 13m 깊이에 있던 지하 공간이 40년 만에 시민들에게 처음으로 공개된다.

서울시는 오는 8~23일 시민들에게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을지로입구역 간 지하 2층 터널 공간을 개방한다고 5일 밝혔다.

너비 9.5m, 높이 4.5m, 총 길이 335m인 이 공간은 전국 최초로 조성된 지하상가 아래, 지하철 2호선 선로 위쪽에 위치한. 총면적은 3182㎡로 약 1000평 정도다.

서울광장 13m 아래에 숨겨져 있던 1천여 평 규모의 지하공간

언제 무슨 용도로 만들어졌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시는 높이가 다른 시청역과 을지로입구역을 연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시는 개방과 함께 이 지하공간을 탐험하는 ‘숨은 공간, 시간 여행: 지하철 역사 시민탐험대’를 모집한다. 코스는 서울시청 시민청~시티스타몰~숨은 공간~시청역~도시건축전시관이다. 해설사가 동행하며 공간 곳곳에 숨겨진 이야기를 들려 준다.

탐험은 오는 8~23일 매주 금·토요일 오전 11시, 오후 1시, 오후 3시, 오후 5시 등 하루 4회 약 1시간 진행된다. 회당 참여 인원은 안전을 고려해 10명 정도로 한정한다.

지하공간 위로는 근대 배수로가 지나고 있어 동굴에서나 발견되는 종유석을 볼 수 있다. 또한 4~6분마다 80㏈(데시벨)의 2호선 지하철 통과 소리와 진동도 느낄 수 있다.

참여 신청은 공공서비스예약 홈페이지에서 오는 6일부터 22일 오후 6시까지 하면 된다. 신청 마감이 안 된 회차에 한해서는 현장 접수도 가능하다.

서울광장 13m 아래에 있던 1천여 평의 지하공간. 물이 떨어져 생긴 종유석

한편 서울시는 이 지하공간의 활용 아이디어를 공모한다. 국민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

공모는 6~10일간 ‘숨은 공간, 숨 불어넣기: 지하철역사 상상공모전’을 하고, 대상 1점(상금 300만 원) 등 총 35점을 선정해 상금 총 2100만 원을 시상한다. 당선작은 사업 현실화를 위한 심화기획 등을 통해 공간조성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6일부터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서울시 제공

시는 지하공간 조성에 앞서 환기, 채광, 피난, 소음·진동 등 시설 및 안전대책을 마련하고 입지적 중요성과 상징성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지역 특성과 트렌드를 반영해 지하철역을 도심 속 명소로 만드는 ‘지하철역사 혁신프로젝트’로 진행된다.

‘지하철역사 혁신프로젝트’ 시범사업은 ▲역 전체를 러너스테이션(runner's station)으로 만드는 ‘여의나루역’ ▲MZ세대 거리문화 성지로 변화하는 중구 ‘신당역’ ▲이색스포츠 체험이 가능한 공간 송파구 ‘문정역’ ▲시청역 등 총 4곳에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