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 전략사업' 공모에서 12곳을 신청해 4곳이 선정됐다. 다만 관심을 모았던 창원 방위·원자력융합국가산업단지는 선정이 유보돼 향후 재심의를 한다. 전국적으론 15개 사업이 선정됐다.
선정된 경남의 사업지는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698만㎡) ▲창원 의창구 도심융합기술(R&D)단지(227만㎡) ▲마산회원구 도심생활 복합단지(97만㎡) ▲김해 진영읍 테크업 일반산업단지(70만㎡) 등으로, 산업단지 3곳과 도시개발사업 한 곳이다.
이로써 경남도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내 1092만㎡(약 330만 평)를 개발할 수 있는 터를 마련하게 됐다. 이들 지역에는 물류 및 방위 산업 R&D센터, 관련 산업단지 등을 건설한다. 사업비는 3조 4천억 원에 이른다.
4개 지역의 사업 내용을 알아본다.
경남의 그린벨트 국가·지역 전략산업 선정 현황. 경남도
창원·김해권 국가·지역 전략사업 선정지 현황. 경남도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
단지 위치는 창원시 진해구 남양동·서중동 일대다. 이번 선정으로 진해·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규모는 기존 404만㎡에서 1102만㎡로 크게 증가했다. 기존의 2.7배다.
이 가운데 진해신항 배후단지는 698만㎡ 규모다. 산업시설 298만㎡, 주거시설 100만㎡, 상업시설 12만㎡, 공공시설 등 기타 288만㎡다.
단지는 정부에서 오는 2045년까지 건설하는 진해신항과 연계해 건설된다. 창원시 또는 부산항만공사가 2조 500억여 원을 투입해 3개 지구로 나눠 복합물류단지로 개발한다.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는 진해·부산항 신항의 물동량 증가와 가덕도 신공항 건설에 대비한 물류 거점 역할을 한다.
이곳에는 트라이포트(항만-공항-철도) 기반의 첨단 복합 물류 플랫폼을 구축한다.
해양 매립 방식이 아닌 육상 개발로 효율적 토지 이용과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해진다. 단지 지정 지역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에 속한 곳으로 앞쪽은 바다, 뒤쪽은 그린벨트여서 개발 용지가 상당히 부족했다.
단지 조성이 끝나면 연간 생산액 7조 3000억 원, 일자리 창출 1만 4591명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창원 의창구 도심융합기술(R&D)단지
단지 위치는 창원시 의창구 용동 일대로, R&D단지 규모는 총 227만㎡다. R&D센터 등 산업시설 50만㎡, 주거시설 29만㎡, 공공시설 등 기타 148만㎡다. 국립창원대 뒤쪽과 인근 국도 25호선 일대다.
창원 도심융합기술(R&D)단지는 창원시와 국립창원대, 국책 연구원(한국전기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창원국가산단 대기업 등이 협력해 도시융합 R&D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2035년까지 7500억 원을 투입해 과학기술원 수준의 도심융합 연구개발 단지를 만든다.
또 방산 소재·부품 연구개발, 기업 지원, 인력 양성 플랫폼을 조성해 국내 및 지역 방위산업을 선도할 방산 R&D센터를 구축한다.
단지 조성 이후에는 연간 생산액 1조2000억 원, 2464명의 일자리 창출을 기대했다.
▶마산회원구 도심생활 복합단지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일대로 단지 규모는 97만㎡다. 복합시설 26만㎡, 공공시설 등 기타 71만㎡다. 마산역 뒤쪽과 남해고속도로 사이에 있다.
도심생활 복합단지는 마산역 주변 노후화된 주거·상업·공공 시설을 재정비 하는 것을 비롯해 외국인 지원 플랫폼, 교육센터, 공공임대주택 등을 집적화 해 경남 지역 외국인 지원의 구심지로 만든다.
창원시가 2900억 원을 들여 마산역 주변 낡은 주거·상업 시설을 정비하고 마산역에 들어서는 미래형 환승센터와 연계해 복합개발을 한다.
단지 조성 이후 연간 생산액 6000억 원, 일자리 창출 1234명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김해 진영테크업 일반산단
김해시 진영읍 사산리 남해고속도로 진영휴게소 일대로 단지 규모는 70만㎡다. 산업시설 45만㎡, 공공시설 등 기타 25만㎡다.
진영테크업 일반산단은 부산, 울산 등 광역시와 연접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미래 모빌리티, 수소, 로봇, 전력반도체 산업을 육성한다. 김해시와 기업들이 2033년까지 3100억 원을 투입한다.
영세 제조업 중심의 저성장 구조에서 탈피하고 지역 제조업의 구조 고도화, 신성장 산업 기반을 마련한다.
단지 조성 이후 연간 생산액 1조 6000억 원, 23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경남도는 25일 국토부 발표와 함께 이들 4곳을 3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 공고했다.